옥션 ‘개인정보 유출’ 비상
닷새째 피해규모·원인 파악못해
“주민번호 이미 유출” 추가피해 우려 국내 최대 온라인 오픈마켓인 옥션(www.auction.co.kr)에 해커가 침입한 지 닷새가 지났는데도 회사 쪽이 피해 규모는 커녕 사고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1800만 옥션 회원들의 불안감은 커져가고 있고, 다른 포털업체들도 개인정보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옥션은 9일 이번 사고의 원인과 피해 규모에 대해 “현재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직원들이 모두 나와 업무를 보고 있지만 회원 1800만명의 접속 흔적을 다 살펴봐야 하고, 특히 설 연휴 때라 관계 기관과의 협조가 지연되고 있다”고 털어놨다.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 확산이 우려되자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과 인터넷 업체들이 소속된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지난 6일부터 네이버를 중심으로 비밀번호(패스워드) 변경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박광진 한국정보보호진흥원 개인정보보호지원센터 단장은 “같은 아이디로 여러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예방차원에서 비밀번호 변경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옥션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름과 주민번호, 거주지 및 메일 주소, 아이디 등이 담겨져 있는데, 누군가 빼낸 개인정보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2차, 3차 피해자가 생겨날 수 있는 상황이다. 유출 범위와 사고원인 규명이 늦어지면서 가장 답답해하는 이들은 옥션 가입자들이다. 옥션 회원들은 당장 서비스를 탈퇴하거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말미암은 피해 등 부작용을 더 걱정하고 있다. 옥션 회원이었던 김아무개(28)씨는 “유출 사고 뒤 탈퇴를 했지만 이것이 대안은 아닌 것 같다”며 “인터넷 업체들이 개인정보 관리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민간 업체들이 주민등록번호를 비롯한 민감한 개인정보를 과다하게 요구하는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정책위원은 “거리에서 김밥을 살 때 신분증을 보이지 않듯 전자상거래도 마찬가지”라며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본인 확인을 위해서인데 휴대폰이나 신용카드 번호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주민번호 이미 유출” 추가피해 우려 국내 최대 온라인 오픈마켓인 옥션(www.auction.co.kr)에 해커가 침입한 지 닷새가 지났는데도 회사 쪽이 피해 규모는 커녕 사고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1800만 옥션 회원들의 불안감은 커져가고 있고, 다른 포털업체들도 개인정보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옥션은 9일 이번 사고의 원인과 피해 규모에 대해 “현재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직원들이 모두 나와 업무를 보고 있지만 회원 1800만명의 접속 흔적을 다 살펴봐야 하고, 특히 설 연휴 때라 관계 기관과의 협조가 지연되고 있다”고 털어놨다.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 확산이 우려되자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과 인터넷 업체들이 소속된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지난 6일부터 네이버를 중심으로 비밀번호(패스워드) 변경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박광진 한국정보보호진흥원 개인정보보호지원센터 단장은 “같은 아이디로 여러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예방차원에서 비밀번호 변경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옥션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름과 주민번호, 거주지 및 메일 주소, 아이디 등이 담겨져 있는데, 누군가 빼낸 개인정보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2차, 3차 피해자가 생겨날 수 있는 상황이다. 유출 범위와 사고원인 규명이 늦어지면서 가장 답답해하는 이들은 옥션 가입자들이다. 옥션 회원들은 당장 서비스를 탈퇴하거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말미암은 피해 등 부작용을 더 걱정하고 있다. 옥션 회원이었던 김아무개(28)씨는 “유출 사고 뒤 탈퇴를 했지만 이것이 대안은 아닌 것 같다”며 “인터넷 업체들이 개인정보 관리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민간 업체들이 주민등록번호를 비롯한 민감한 개인정보를 과다하게 요구하는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정책위원은 “거리에서 김밥을 살 때 신분증을 보이지 않듯 전자상거래도 마찬가지”라며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본인 확인을 위해서인데 휴대폰이나 신용카드 번호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