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대형마트, 대형마트→슈퍼마켓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소비자의 30% 이상이 생필품 등을 구매하는 쇼핑 장소를 값이 저렴하거나 접근이 편한 곳으로 바꾼 것으로 조사됐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서울 및 경기지역 소비자 5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불황기 소매업태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보면, 전체의 31%가 ‘경기침체로 주요 쇼핑 장소를 바꿨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32.9%는 백화점에서 대형마트로, 31.6%는 대형마트에서 슈퍼마켓으로 쇼핑 장소를 바꿨다. 오프라인 유통매장에서 인터넷 쇼핑몰로 바꿨다는 응답도 16.8%에 이르렀다.
상의는 “가계소득 감소로 소비자들은 비슷한 상품이라면 가격이 조금이라도 낮은 대형마트를 선택하거나 짧은 거리에서 소량구매가 가능한 동네 슈퍼마켓을 선호하는 것”이라며 “가격 비교가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이 인기를 끄는 것도 저가구매 경향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조사 대상 가구의 절반 이상(58.9%)은 ‘백화점을 찾는 횟수가 한 달에 한 번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고, 32.5%는 ‘한 달에 1회 이상∼3회 미만’이라고 응답했다. 대형마트는 한 달에 ‘1회 이상∼3회 미만’ 이용한다는 응답이 38.9%로 가장 많았고 슈퍼마켓은 ‘7회 이상’이라고 답한 세대가 29.3%로 주류를 이뤘다.
‘최근 한달간 가장 많은 금액을 지출한 소매업태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에는 전체의 46.7%가 대형마트를, 20.6%가 슈퍼마켓을, 11.2%는 백화점을 꼽았다.
월평균 가계소득이 500만원을 넘어서는 가계의 40.4%는 백화점에서 가장 많이 지출하고 있었고 월 100만원 이하 가구의 25.0%는 전통시장에서 주로 물품을 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