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쇼핑몰 소비자에게 거래조건 불리해
캐나다구스 사칭 쇼핑몰도 등장해 주의해야
캐나다구스 사칭 쇼핑몰도 등장해 주의해야
블랙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 시즌 세일 기간 해외 직구를 통해 할인율이 높은 상품을 선점하고 싶어 서둘러 주문한 뒤에는 구매 취소를 할 수 없는 해외 쇼핑몰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또 해외 직구가 활발한 때를 틈타 유명 거위털 의류 브랜드인 ‘캐나다구스’ 사칭 쇼핑몰까지 등장해 소비자들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9개 유명 해외 온라인쇼핑몰의 거래조건을 조사했더니, 일부 쇼핑몰은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운영되고 있었다고 25일 밝혔다. 소비자원은 미국의 샵밥·식스피엠·아마존·아이허브·이베이·월마트, 일본의 라쿠텐·아마존재팬, 중국의 타오바오 등의 취소·배송·반품 거래조건을 조사했다.
이베이는 주문 뒤 1시간 이내에만 거래를 취소할 수 있고, 샵밥은 주문하면 거래 내용을 수정하거나 취소할 수 없었다고 소비자원을 밝혔다. 일본 온라인쇼핑몰인 라쿠텐은 입점업체가 소비자에게 취소수수료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직접 배송이 아닌 배송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면 물품이 파손되거나 분실돼도 보상을 받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존과 이베이는 입점업체와 소비자 사이 분쟁해결을 지원하는 제도를 운용 중이지만, 배송대행을 이용하면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없다.
반품 거래조건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아마존과 이베이 등의 입점업체가 반품 불가나 반품 수수료 청구와 같이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건 아래 제품을 파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관세 선납금 조건도 따져보자. 관세 선납금은 수입 통관 시 청구될 관·부가세의 추정 금액을 일컫는데, 면세인데도 이를 부과하거나 실제보다 많은 금액을 청구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베이는 관세 선납금 반환에 대한 표시가 없었다고 소비자원은 덧붙였다. 소비자원은 해외 직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국제거래 소비자 포털(http://crossborder.kca.go.kr)에서 주요 해외 쇼핑몰 반품·환불 절차를 확인할 것을 권유했다.
또 같은 날 소비자원은 최근 10일(11월 15일∼24일) 동안 캐나다구스 관련 소비자 상담이 총 33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캐나다구스 공식 판매처를 사칭한 쇼핑몰들은 초기 화면에 '캐나다구스 한국 공식 온라인 스토어' 등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실제 공식 쇼핑몰이 아닌 것으로 소비자원은 파악했다. 소비자들은 사칭 쇼핑몰 쪽과는 연락이 되지 않고, 받아본 상품은 가짜인 것으로 의심된다며 상담글을 올리고 있다. 소비자원은 공식 온라인 판매처인지 홈페이지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홈페이지 신뢰도 판별 서비스인 ‘스캠어드바저’(www.scamadviser.com), ‘위뷰테이션’(www.webutation.net), ‘도메인툴즈’(whois.domaintools.com)를 통해 해당 쇼핑몰에 대한 검증 절차를 거칠 것을 권유했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