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삼양·오비·하이트진로·코카콜라 등 가격 올려
CEO스코어 “국정 공백기 틈 타 가격 인상한 것” 비판
업체들 “제조원가 보다 경영비용·광고 등 상승 부담 탓”
CEO스코어 “국정 공백기 틈 타 가격 인상한 것” 비판
업체들 “제조원가 보다 경영비용·광고 등 상승 부담 탓”
최근 가격을 올린 식음료업체 10곳 중 8곳이 매출원가율이 하락했는데도 제품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시이오(CEO)스코어는 지난해 11월부터 올 5월까지 제품 가격을 올린 10개 식음료업체 중 8곳의 매출원가율이 하락했다고 12일 밝혔다. 매출원가율은 총매출 가운데 매입원가 혹은 제조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매출원가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기업의 부담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의미다.
업체별로 보면, 농심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매출원가율이 67.8%로 1년 전과 견줘 1.4%포인트 하락했고, 삼양식품도 74.4%로 1년 만에 1.0%포인트 떨어졌다. 하지만 두 곳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5월 초 라면 가격을 각각 5.5%씩 올렸다.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한 오비맥주 역시 매출원가율이 1.4%포인트 하락한 40%였고, 하이트진로도 0.6%포인트 떨어진 56.4%였다. 코카콜라(54.9%), 롯데칠성음료(56.3%)도 매출원가율이 1년 전보다 각각 1.4%포인트, 1.0%포인트 떨어진 반면, 제품 가격은 올랐다.
외식업계도 마찬가지다. 씨제이(CJ)푸드빌은 매출원가율이 45.1%에서 44.3%로 0.8%포인트 떨어졌는데도 빙수와 빙과류 등의 가격을 올렸다. 최근 기습적인 가격 인상으로 논란이 된 치킨프랜차이즈 비비큐도 매출원가율이 63.3%에서 62.8%로 0.5%포인트 하락했다. 시이오스코어 관계자는 “식품 대기업들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 국정 공백기를 틈타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반면 가격을 올린 기업들은 매출원가율만 봐서는 안된다는 반응이다. 농심 관계자는 “제품 가격을 올린 것은 제조원가보다 인건비·물류·광고 등 경영비용이 상승한 것인 직접적인 원인”이라며 “5년 동안 누적돼 부담이 컸다”고 말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