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와 식약처가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 25곳을 추가로 발표한 17일 경기도 양주시 한 농장에서 양주시청 직원들과 농장관계자들이 달걀 전량을 폐기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256만4509마리가 머무는 전국 49개 농장에서 5종의 살충제가 뿌려진 것으로 집계됐다. 14일 최초로 살충제 달걀 문제가 불거진 뒤 15일 부터 사흘동안 이뤄진 전국 1239곳 농가에 대한 전수검사 결과다.
18일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정부 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오늘(18일) 9시까지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를 완료한 결과 49개 농장이 부적합 판정됐고 1190개농장이 적합 판명돼 시중유통을 허용했다”고 밝혔다. 부적합 농가가 내놓는 달걀은 전체 달걀 생산량의 4.3% 정도다. 부적합 농가 가운데는 친환경 농가 31곳이 포함됐다. 부적합 농가는 아니지만 친환경 인증기준을 위반한 농가 수는 37곳이었다.
이날 새로 추가된 17개 부적합 업체 가운데는 미리 알리고 검사를 나가거나 무작위 시료채취를 하지 않는 등 정부의 부실 검사 의혹이 제기된 뒤 재조사가 진행된 농가 2곳이 포함됐다. 인천 강화군과,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농가다. 김영록 장관은 “이후에라도 조사신뢰성 문제가 제기 된다면 즉시 재검사를 실시하겠다”면서도 “적합판정을 받고 출하 유통되는 계란은 안전한만큼 내일부터 국민들은 안심하고 계란을 드셔도 된다”고 말했다. 또 이날 새로 발표된 경북 김천의 한 농가는 난각코드가 없이 계란을 유통한 걸로 드러났다. 난각코드를 보고 부적합 계란을 골라내는 소비자 입장에선 불안감을 가중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정부는 살충제 계란 사태로 불거진 계란 생산과 유통과정의 문제점을 짚고, 법 개정 등 대응방침을 검토할 계획이다. 김영록 장관은 “동물복지형 축산업을 비롯해 근본적이 대응방침을 마련하겠다”며 “케이지 사육 여부 등을 표시하는 사육환경표시제도를 도입하고 친환경인증제도의 전반적인 재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안전한 달걀 유통을 위해 생산단계에서 △살충제 및 항생제를 판매할 때 기록관리 의무화 △계란 이력추적 관리시스템 조기도입 △친환경인증제 개선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유통과 판매 단계에서는 △대형마트, 가공업체 등에 대한 주기적 조사와 △부적합 업체에 대한 정보 공개 등 특별관리 방안을 내놨다다. 소비자의 구매 단계를 두고는 △국내산 계란의 산란일자 표시 △해외 수입 계란 안전성 강화 등의 방안을 내놨다.
김소연 방준호 기자
dand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