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문에 손이 끼이거나 트렁크에 머리를 부딪치는 등 자동차 관련 안전사고가 1년에 1천 건 가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고의 위험성 등을 알리는 안전정보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 6개월(2014년 1월∼2017년 6월)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자동차 비충돌사고가 총 3223건으로 매년 1천여 건 가까이 발생했다고 4일 밝혔다. 비충돌사고 중 문으로 인한 사고가 80.2%(2585건)로 가장 많았고 트렁크(7.6%, 244건), 창문(2.3%, 75건)이 뒤를 이었다. 문이나 창문의 경우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가 각 72.3%(1868건), 77.3%(58건)로 큰 비중을 차지했고, 트렁크는 머리를 부딪치는 사고가 71.3%(174건)로 가장 많았다.
특히 어린이 사고가 잦았다. 자동차 비충돌사고의 절반(49.9%, 1608건)가량은 만 14살 이하였으며, 승용차를 운행하는 30∼50대도 34%를 차지했다.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데도 안전정보는 부족했다. 소비자원이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 5종의 취급설명서를 살펴본 결과 비충돌사고 관련 주의·경고는 전혀 없거나 있어도 글씨가 작았다. 현대자동차 등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는 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의 취급설명서에 비충돌사고 경고 문구를 잘 보이게 넣기로 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