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펭수 굿즈 소비 넘어, 직접 제작하며 즐겨요”…팬슈머 확산

등록 2019-11-21 15:59수정 2019-11-22 09:36

스티커·휴대폰 케이스·머그컵…
직접 제품기획 나서는 소비자 늘어
카카오프렌즈 등 캐릭터 큰 호응
‘82년생 김지영’ 크라우드펀딩 등
의미있는 소비 캠페인 벌이기도
그래픽_고윤결, 사진 교육방송, 이씨, 정씨 제공
그래픽_고윤결, 사진 교육방송, 이씨, 정씨 제공

“펭수 굿즈 만들어주세요. 제발 탕진할 수 있게 해주세요.” “펭수 굿즈 만들어야 할 목록 봐주세요. 에어팟 케이스, 슬리퍼, 수면바지, 고척돔 콘서트….”

요즘 <교육방송>(EBS)의 ‘자이언트 펭티브이(TV)’ 시청자 게시판에는 이런 글이 일주일에 십여개씩 올라온다. 캐릭터 ‘펭수’ 굿즈(캐릭터 상품)를 만들어달라는 요청이다. <교육방송>은 올 연말 공식 굿즈를 출시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팬들은 기다리다 못해 직접 나서기도 한다. 6년 차 직장인 윤아무개(33)씨는 이달 초 휴대폰 앱을 이용해 휴대폰 케이스를 직접 만들었다. 윤씨는 “시간과 비용을 들였지만, 무료 나눔을 통해 팬층을 확대할 수 있어 뿌듯하다”고 했다. 20대 이아무개씨도 “노트북과 사무능력을 동원해 저렴하게 만든 스티커를 지인들에게 선물할 때 활용한다”고 했다.

유튜브를 통해 예능 대세로 떠오른 EBS의 캐릭터 ‘펭수’. 자이언트 펭TV 화면 갈무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아무개씨가 만든 펭수 스티커. 사진 이씨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교육방송> ‘자이언트 펭티브이(TV)’의 캐릭터 ‘펭수’ 굿즈 출시를 요청하는 시청자 게시글. 사진 <교육방송> 화면 갈무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캐릭터와 연예인 등 이미 유통 중인 상품과 콘텐츠를 다량 소비하는 수준을 넘어, 직접 제품 기획과 제작에 나서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트렌드코리아 2020>에서 이런 현상을 ‘팬슈머(fansumer·팬+소비자)’로 명명했다. 기획·유통·홍보 및 지지·비판 등 전반에 관여하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로, 프로슈머(prosumer·참여형 소비자)보다 적극적이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등에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투자하거나 제품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식이다.

애초 팬슈머 현상은 아이돌 팬덤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점차 영화나 캐릭터 등 콘텐츠 산업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영화 <아수라>(2016) 팬들은 굿즈를 공동제작하고 탄핵 집회에도 함께 참여한 바 있다. <아수라> 굿즈 공동구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안남기프트’를 운영하는 조미선(29)씨는 “20대 이상 중심으로 마우스패드, 메모지 등 사무용품이 인기가 좋고 스티커는 6백장 모두 팔렸다”며 “일부 제품은 적자도 봤지만 영리 목적이 아닌 만큼, 취향을 공유하는 데 방점을 둔다”고 했다.

영화 <아수라>의 굿즈 공동구매 SNS 계정 ‘안남기프트’의 티셔츠. 사진 조미선씨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팬슈머들의 호응이 큰 콘텐츠는 캐릭터다. 반복적으로 구매하고 정보를 공유한다. 동서식품은 지난해 카카오프렌즈 머그컵 등이 사은품으로 딸린 ‘맥심’ 세트를 한달 만에 68만개 팔았다. 펭수가 모델로 나온 잡지 <나일론> 12월호는 입고 하루 만에 대형서점에서 소진됐는데, 펭수 팬들의 오픈카톡방에서는 추가 입고 정보가 실시간 공유된다. 온라인 서점들은 수능교재를 사면 이름표 등 펭수 굿즈를 증정하는데, 지난 11~17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0%(인터파크)까지 늘었다. 미니어처 제작자 정아무개씨는 “펭수 굿즈를 기다리다가 점토로 피규어를 만들었는데, 팬들의 제작 문의가 잇따른다”고 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캐릭터 상품은 10대뿐 아니라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좇는 20~30대 비중도 크기 때문에 반복·연쇄 구매 비중이 크고 아이디어 제안도 적극적인 편”이라고 했다.

미니어처 제작자 정아무개(네이버 계정 ‘개쪽쪽이’)씨가 만든 펭수 피규어. 사진 정씨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팬슈머 사이에선 소비·생산의 ‘올바름’을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불법 제품은 문제 제기하고,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소비 캠페인을 벌이는 식이다. 저작권자 허락 없이 개인 소장 등 목적을 넘어 수익 활동을 벌이면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 <교육방송> 관계자는 “‘불법 굿즈’ 관련 팬들의 제보를 접수해 경고 등 조처를 하고 있다”고 했다. <트렌드코리아 2020>은 “힘을 합쳐 자정·정화하려는 움직임은 밀레니얼(1980년대~1990년대 출생) 소비자의 특징”이라고 짚었다.

현소은 기자 s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서울원 아이파크’ 중대형 청약 미달…고분양가에 수요자들 외면 1.

‘서울원 아이파크’ 중대형 청약 미달…고분양가에 수요자들 외면

세종대 교수 4명,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2.

세종대 교수 4명,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5억 시세차익에 세금만 9억…분양권 ‘손피거래’ 양도세 무한 적용 3.

5억 시세차익에 세금만 9억…분양권 ‘손피거래’ 양도세 무한 적용

나도 평균일까…41살 ‘흑자 정점’에 61살 ‘적자 전환’ 4.

나도 평균일까…41살 ‘흑자 정점’에 61살 ‘적자 전환’

과세 준비 미비하다고 가상자산 과세 2년 더 유예하자는 정부·여당 5.

과세 준비 미비하다고 가상자산 과세 2년 더 유예하자는 정부·여당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