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간표가 예정대로 진행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은은 지난달 ‘금융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꼽으며 금리를 올리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바 있다. 이후 코로나19 4차 유행이라는 변수가 발생했지만, 집값과 물가 상승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만큼 한은의 입장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현재로선 이달 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올해 모두 두 차례 금리를 올리는 스케줄이 유력해 보인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불확실성이 예상보다 커지면 첫 금리 인상 시점이 10∼11월로 늦춰 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한은은 오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역대 최저 수준인 연 0.5% 기준금리의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한은은 지난달 금통위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을 고려해 일단 금리를 동결했다. 하지만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가계부채 및 자산시장 과열 대응을 언급하면서 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은이 ‘금융’과 ‘실물경제’ 중에서 금융불균형 해소를 통화정책 전환의 최우선 과제로 삼기로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지난 3일 공개된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한 금통위원은 “실물 경제 상황만을 보면 금리 수준을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한 것은 아니지만, 금융 안정을 고려하면 통화 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한은은 코로나19 4차 유행에 따른 경제 충격도 아직은 과거에 비해 작다는 입장이다. 실물 경제가 금리 인상을 버틸 정도의 회복은 유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한은은 “감염병에 대한 학습 효과로 이번 재확산의 경제적 영향은 이전보다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성장 흐름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금통위까지 보름 이상 남았기 때문에 코로나19 불확실성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다. 그 사이 코로나19 변수가 커진다면 한은이 금리 인상 입장을 고수하는 대신 시기를 다소 조정할 수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이날 “한은이 8월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인상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이 심해져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커지면 인상 시기를 10월 또는 11월로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한은의 경제 전망 수정 여부도 중요하다. 한은의 올해 전망치는 연간 경제 성장률이 4.0%, 물가 상승률이 1.8%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19 재확산 이전인 지난 5월 전망한 수치다.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존 경제 전망을 바꾼다면 금리 인상 시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은이 코로나19 4차 유행 충격을 계속 제한적으로 본다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가 전망치는 수정 가능성이 있다.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한은은 “지난 5월 전망 때보다 물가 상방 압력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며 “하반기에도 추세가 이어지면 기존 전망치보다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