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넘게 취업하지 못한 상태로 집에서 시간을 보낸 ‘니트족’(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무직자) 청년이 올해 1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15~29살)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상태인 청년은 27만8천명에 달했다. 이들 가운데 미취업 기간 동안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낸 청년은 9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미취업 기간에 구직활동, 직업교육, 학원이나 도서관 등에 다니며 취업 시험 준비, 육아·가사활동 등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다. 이는 1년 전(7만1천명)에 비해 2만5천명(35.8%) 늘어난 수치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25~29살)이 6만1천명으로 63.5%를 차지했고, 20대 전반(20~24살)이 3만1천명(32.5%), 10대 후반(15~19살) 4천명(4.0%) 등의 순이었다. 교육 정도로 보면 고졸자가 7만5천명(77.5%)으로 가장 많았다. 전문대 이상 졸업자는 1만1천명(11.7%)이었는데, 이 가운데 초대졸자가 5천명, 대졸자가 4천명, 대학원 졸업자가 2천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6만2천명으로 1년 전(4만7천명)보다 1만5천명 늘었다. 여자는 1년 전(2만4천명)보다 1만1천명 증가한 3만5천명(반올림 과정에서 수치 변동)으로 집계됐다.
반면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가운데 8만5천명은 학원이나 도서관 등에 다니며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이들 가운데 경찰·소방·군무원을 포함한 일반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사람이 4만3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장기 취업준비자 가운데 절반가량은 ‘공시생’인 셈이다. 2만명가량은 일반 기업체나 공사·공단 등 공공기업 취업 준비를 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에 변리사·공인회계사 등 전문 분야 자격증 준비생(7천명), 미용사·조리사 등 기능 분야 자격증 준비생(4천명), 교원 임용고시(사립교사 포함) 준비생(3천명) 등도 있었다.
장기 미취업자 가운데 직업교육(훈련)을 받거나 구직활동을 한 사람은 1만8천명이었고, 육아·가사(5만4천명)나 여행·독서 등 여가활동(7천명) 등을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각종 조건을 통제한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를 일반적인 현상으로 해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