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계기업’ 비중이 주요국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을 뜻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신용평가기관 에스앤피(S&P)의 데이터베이스 ‘캐피탈 아이큐’(Capital IQ)에 바탕을 두고 산출해 28일 내놓은 결과를 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8.9%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2016년 15.7%에서 2017년 15.2%로 낮아졌다가 2018년 16.1%, 2019년 17.9%로 높아지는 흐름이다.
2020년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캐나다, 미국, 그리스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2019년 기준 조사 때(5위)에 견줘 한 단계 올랐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치(13.4%)보다 5.5%포인트 높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 16.1%에서 2020년 18.9%로 2.8%포인트 높아져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증가 폭(1.8%포인트)을 웃돌았다. 조사대상 25개국 중 10번째로 높은 증가 폭이다.
이번 조사대상은 외부감사법에 따른 자산총액 500억원 이상인 기업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38개국 중 조사대상 기업 데이터가 100개 미만인 13개국은 제외됐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