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 고승범 금융위원장(왼쪽부터)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정은보 금감원장 등이 참여했다. 기획재정부 제공.
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이 한자리에 모여 가계대출 증가율을 억제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고승범 금융위원장,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3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을 논의했다. 네 기관의 수장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지난 2월 이후 7개월여 만이다. 고승범 위원장과 정은보 원장은 취임 후 상견례도 겸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회의 모두발언에서 “가계부채 증가세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출이 꼭 필요한 수요자들은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폭넓게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회의 참석자들도 가계부채의 빠른 증가 속도가 실물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데 의견을 함께했다.
기재부는 회의 뒤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증가율을 올해 6%대로 유지하고 내년에도 이런 기조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는 4월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면서 가계대출 증가율을 올해 5~6% 안팎으로, 내년에는 코로나 이전 수준(4%대)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대출이 꼭 필요한 수요자에 대한 보호 방안도 함께 고민해 10월 중에 가계부채 관리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재정·통화·금융당국의 수장들은 또 대내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다. 공급병목 현상 해소 지연 가능성, 미국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중국 부동산 부실 등 글로벌 리스크가 상존하는 것은 물론 대내적으로 부동산 및 가계부채 등 유동성과 연관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이에 대한 대응 필요성에 공감했다. 홍 부총리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할 수 있는 ‘회색 코뿔소’와 같은 위험요인들은 선제로 제거할 필요가 있고, 불균등 회복에 따른 격차 확대, 취약계층 및 한계기업 기초체력 약화 등 경제회복 과정을 불안정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글로벌 경제와 우리 경제의 기조적 회복 흐름이 견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회복과 함께 금융 불균형 완화를 위해 거시·재정·금융 정책을 조화롭게 운용(policy mix)하고, 위기 대응을 위한 한시적 조처의 연착륙과 방역·민생이 함께하는 단계적 일상 회복의 이행 필요성에 공감했다. 홍 부총리는 “거시·금융 정책 당국의 일치된 합심 노력과 거시금융정책 자체의 상호보완적 조합·운용이 기본 토대가 돼야 함은 자명하다”며 “앞으로도 거시경제·재정·통화·금융당국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더 긴밀하게 소통하고 일사불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