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내년 세계 경제가 4.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외연구원은 11일 ‘2022년 세계 경제 전망’을 내어, 내년 세계 경제가 올해 성장률 전망치(5.9%)보다 1.3%포인트 낮아진 4.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5월 전망치(4.3%)에서 0.3%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4.9%)보다 낮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4.5%)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대외연구원은 “주요 선진국의 경기회복 흐름은 주요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요 신흥국에서도 완만한 경기회복이 이뤄지겠으나, 2021년 하반기부터 발생한 델타 변이의 재확산세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지가 내년 성장세를 결정지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국가별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미국 3.8%, 중국 5.5%, 유로 지역 4.6%, 영국 5.3%, 일본 3.3%, 인도 7.9%, 러시아 2.9%, 브라질 1.5% 등이다.
연구원은 내년 세계 교역이 코로나19 이전의 증가 추세로 회귀할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국내 경제활동 활성화 등에 따라 소폭 하락하고, 국제유가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58명의 전문가들에게 물은 ‘세계의 가장 시급한 장기적인 정책과제’로는 ‘백신의 신흥국을 포함한 전세계 보급’(38명·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인플레이션 압력 대응’(29명), ‘경제회복과 일자리 대응’(26명), ‘기후변화 대응’(23명), ‘소득·자산불평등 대응’(22명) 등이 순이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