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로 이달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었던 물량 중 절반가량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박기영 에너지차관 주재로 에너지·자원 수급관리 태스크포스(TF) 긴급회의를 열어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와 관련된 국내 에너지·전력 수급 동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발전공기업 5사와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인도네시아·중국 상무관 등이 참석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달 31일부터 석탄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자국 내 발전용 석탄의 재고가 부족해 전력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조처다. 인도네시아 전력공사는 내수 석탄 구매 가격을 t당 70달러로 제한해왔는데, 이 때문에 현지 석탄업체들은 비싼 가격에 수출하는 것을 선호해왔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오는 5일까지 모든 석탄을 자국 석탄발전소로 공급한 뒤 석탄 재고를 확인하고 수출 재개를 검토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인도네시아 조치로 인한 국내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달 입고될 예정이었던 물량 중 55%는 이미 선적했거나 출항해 국내에 정상적으로 들어온다고 한다. 국내 석탄 수입량에서 인도네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 수준이다. 49%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11%는 러시아, 9%는 미국에서 들여온다.
정부는 겨울철 전력 수요와 인도네시아 조처로 인한 국제 수급 영향에 초점을 두고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박기영 차관은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1월에 이런 조치가 발생한 만큼 엄중한 인식과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국가 간 석탄 확보 경쟁의 과열과 가격 상승, 중국·인도 전력 수급 영향 등에 대한 상황 점검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