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한국의 경제 상황과 관련해 “최근 방역조처가 다시 강화되고 대외수요의 개선세는 약화되면서 경기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이날 ‘1월 경제동향’을 내어 “12월 들어 방역조처가 재차 강화되면서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여건이 제약되는 모습”이라며 “소비자심리지수와 비제조업 업황 전망지수가 하락하는 등 소비 관련 경제심리가 위축되고 있다”고 밝혔다. 수출과 관련해서도 “공급망 교란,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이 경기 하방위험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세계 산업생산과 교역량이 정체되면서 수출의 증가폭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에 이어 경기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내다본 것이다. 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중에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생산과 소비가 회복 흐름을 나타냈다”며 “숙박 및 음식점업 등의 대면업종을 중심으로 서비스업 생산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소매판매도 준내구재와 비내구재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 등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12월에 꺾였다고 평가한 것이다.
실제로 방역조처가 강화돼 지난해 12월 신용카드 매출액이 전년 같은 달에 비해 0.5% 줄었고,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107.6)보다 3.7포인트 떨어진 103.9를 보였다. 수출도 전월에 보인 증가율(32.0%)보다 낮은 18.3%였고, 무역수지도 5억9천만달러 적자를 보였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