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세계적 공급망 차질을 계기로 기업들의 재고가 구조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8일 ‘최근 공급 차질 및 감염병 상황이 제조업 재고에 미친 영향’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최근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으로 글로벌 공급 차질의 해소가 지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재고 변화의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다”며 “금번 위기를 계기로 기업들의 생산 관리가 적시생산(just-in-time) 방식에서 예비용 생산(just-in-case)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재고가 구조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전 기업들은 ‘비용 최소화’에 초점을 두고 재고를 최대한 적게 쌓았는데, 이런 전략은 세계적 공급망 차질 상황에서 약점을 드러냈다.
이에 한은은 기업들 전략이 만약을 대비해 재고를 축적하는 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고 바라본 것이다.
이같은 흐름은 이미 국내외 기업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하반기 국내 제조업 재고가 늘어난 것도 경기 둔화가 아닌 세계적 공급망 차질과 연관이 있다고 분석했다. 작년에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비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서 최종재 자동차 생산도 감소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생산돼 최종재에 쓰이는 차 부품, 철강 등의 재고가 쌓였다는 얘기다.
한은은 “주로 경기 둔화기에 수요가 감소하면서 재고가 늘어났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견조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공급 차질 및 감염병 확산의 영향으로 경기 회복기에 재고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를 고려할 경우 최근 재고 증가는 향후 제조업 경기의 둔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보기 힘들다”고 밝혔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