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IFS 프랜차이즈 서울’ 박람회가 열린 지난해 7월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관람객들이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운반로봇의 음식 접대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정부가 올해 로봇 산업에 2440억원을 투자하고 서비스 로봇 1600대를 현장에 보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의 ‘2022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6일 밝혔다. 실행계획은 제3차 기본계획(2019~2023년)의 일환이다. 기본계획의 주요 과제인 3대 제조업(뿌리·섬유·식음료) 로봇 보급, 4대 서비스 로봇(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육성 등을 위한 세부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해(2206억원)보다 10% 늘어난 2440억원을 올해 투입할 계획이다.
먼저 서비스 로봇 1600대 이상을 보급한다.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시설을 중심으로 융합 실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고령화나 감염병 상황의 장기화 같은 사회적 문제의 해결에 초점을 둔 서비스로봇 개발에 주력해 대규모 실증을 추진한다고 한다.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기반의 ‘반려로봇’이나 보행을 돕는 로봇 등이 대표적 예다.
제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로봇을 활용하는 표준공정모델을 37개 추가 개발해 보급 확산에 힘쓰기로 했다. 기존에 초점을 뒀던 3대 제조업뿐 아니라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큰 항공·조선·바이오화학 산업의 표준공정모델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3년간 정부는 3대 제조업을 중심으로 표준공정모델 83개를 개발한 바 있다.
아울러 민간에서 제조로봇을 자생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표준공정모델 매뉴얼 등을 담은 데이터베이스(DB)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기로 했다. 노후 로봇의 직거래나 이를 재정비하는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는 로봇 리퍼브(Refurb) 센터도 새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