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역에 진입하는 KTX 열차.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정부가 올해 1월 발생한 KTX-산천 열차의 차바퀴 파손과 탈선 사고를 계기로 고속열차 제작사도 정비에 참여하게 하는 등의 안전 강화 대책을 내놨다.
국토교통부는 코레일(한국철도공사) 관계자와 전문가 등 48명으로 전담 조직을 구성해 ‘고속열차 안전관리 및 신속 대응 방안’을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대응 방안을 보면, 현재 열차 정비는 운영사인 코레일의 직접 정비 구조로 제작사와 운영사 간 정비 노하우 공유가 어려웠지만, 앞으로 최신 고속차량(EMU-320) 정비에 제작사도 참여하게 된다. 향후 주력 고속열차로 활용될 EMU-320은 현대로템이 제작해 내년 12월 납품될 예정이다.
코레일은 제작사와 ‘기술협업부품 유지보수계약’을 맺어 제작사가 품질보증 방식으로 정비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에스아르(SR)는 ‘제작사 일괄정비계약’을 체결한다. 국토부는 정비 주체가 차량의 안전을 최종적으로 책임진다는 원칙하에 사고 유형별 제작사-운영사 간 책임 분담기준도 연구 용역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또 지금까지 차량 정비에 따른 판단 결과만 철도공사시스템에 등록하고 판단의 근거 기록(사진·영상)은 등록하지 않아 판단 결과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판단 결과 외에도 검사 사진·데이터 로그파일 등 원자료를 시스템에 등록하도록 의무화한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 때 복구 시간이 수시로 변경되면서 이용객 불편이 커졌다며 비상시 신속 대응체계도 마련했다. 사고 발생 후 1시간 내 운영사 현장 사고수습본부는 복구시간과 상·하선 차단시간을 제시해야 한다. 사고 구간이 1㎞ 이상인 경우 2시간 이내 제시하면 된다. 이로부터 1시간 내 관제·운영사 합동 대응팀이 우회 여부와 운휴 열차 등을 결정하며, 이 정보는 즉시 이용객에게 안내된다.
임종일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사고처럼 주행 중 고속열차 차바퀴가 파손되는 사고는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사고 이후 지연 열차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를 해서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월5일 오전 11시 53분께 경부고속선 대전~김천구미역 사이에서 열차 운행 중 차바퀴가 파손되면서 차축이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해 7명이 다치고 열차가 최대 4시간가량 지연됐다. 국토부는 사고 직후 교통안전공단의 주행 장치 정비 실태 및 안전 관리체계 준수 여부 등에 대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동종차종 13편성의 운행을 중지하고 차바퀴 432개를 교체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