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대외경제안보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참여하기로 방향을 잡고 향후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주재하고 “미국이 주도하는 인태경제프레임워크 관련 논의가 보다 구체화되고 논의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여, 우리 정부도 참여 긍정적 방향으로 입장과 향후 계획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인태경제프레임워크는 바이든 미 대통령이 취임한 뒤 지난해 10월 제안한 역내 포괄적 경제 협력 구상체다. 회원국들이 무역 촉진·디지털 경제 및 기술표준·공급망 회복력·탈탄소화 및 청정에너지·인프라·노동표준 등 6개 분야에서 협정을 만들 계획이다. 특히 노동표준에는 인권 침해 등도 포함돼 중국에 대응하는 ‘반중 공동 노선’ 성격이 강하다.
홍 부총리는 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도 이번 정부 내 가입 신청, 다음 정부 가입 협상이라는 틀에서 추기 피해 지원 및 향후 계획을 최종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최근 글로벌 경제는 글로벌 공급망이 크게 약화된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로 지정학적 위기까지 겹쳐 성장력 저하, 인플레이션 압력 등 복합적 리스크 요인이 누적 중”이라며 “최근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상하이 등 주요 도시들의 봉쇄로 중국발 공급망 충격이 당장은 파급 영향이 크지 않지만, 장기화 시 국내 생산현장 충격이 우려돼 지역별, 품목별로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은 아직 영향이 없지만, 2차전지, 석유화학 관련 일부 품목은 출하·선적 지연으로 국내 도입에 차질이 있는 것으로 정부는 파악했다.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는 지난해 10월 신설한 회의체로, 경제·안보 부처는 물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일부 위원도 참석한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