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와 울산광역시는 울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에서 ‘1만명 게놈데이터 기반 바이오데이터팜 활용 실증’ 사업을 4일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울산 게놈 특구는 ‘게놈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활용을 통한 바이오 헬스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지정됐다.
실증특례 2개를 부여받아 3개의 세부사업을 진행하는 울산 게놈 특구는 올해 3월 구축된 바이오데이터팜을 기반으로, 세부사업의 실증을 동시에 시작해 규제법령 정비를 위한 안전성 입증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중기부는 전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선 양질의 대용량 바이오데이터가 필요한데, 데이터 부재와 활용의 규제로 한계에 부딪혀 있는 상황에서 나온 대응책이다.
실증은 본격 사업화에 앞서 안전성을 검증해보는 단계다. 실증사업 셋 중 하나인 ‘바이오데이터팜 구축·운영 실증’에서는 유전, 의료정보 관련 바이오 빅데이터를 수집·분석·관리할 수 있는 바이오데이터팜을 구축하고, 양질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기업 등에 제공하는 사업이다. ‘질환별 진단 마커 개발 실증’ 사업은 바이오데이터팜에서 제공하는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해 질환별(심혈관, 우울증, 복합 만성질환)로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진단 마커를 개발하는 내용이다. 세 번째 과제인 ‘감염병 발생 대응 플랫폼 구축 실증’에서는 감염병 진단키트 및 백신,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감염병 질환자 데이터 정밀분석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규제 특례에 따라 연구자가 재생산한 유전정보를 바이오데이터팜에 제공하고, 바이오데이터팜은 이 유전정보를 기업, 병원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실증사업 참여자는 ㈜클리노믹스, ㈜메디에이아이, ㈜에이테크 등 15개사에 이른다.
중기부는 “실증에 앞서 공정한 의사결정 구조 마련, 기관 생명위원회 별도 운영 및 정기 심의 등 부대조건을 이행해 바이오데이터팜 내 유전정보 제공에 대한 전문성 및 윤리성을 확보했다”며 “울산 게놈 특구의 성공적인 실증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이오 의료산업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규제 소관 부처인 보건복지부와 함께 규제법령 정비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