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경상수지가 38억6천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원자재 등 수입 가격 상승으로 흑자 규모는 1년 전보다 65억5천만달러 줄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38억6천만달러(약 5조411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에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고, 한 달 만에 다시 흑자로 전환했다. 흑자액은 작년 5월(104억1천만달러)보다 65억5천만달러나 감소했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보다 39억1천만달러 적은 27억4천만달러에 그쳤다. 수출(617억달러)이 석유제품·화학공업제품·반도체 등의 호조로 20.5%(105억달러) 늘었지만, 수입(589억6천만달러) 증가폭(32.4%·144억1천만달러)이 더 컸기 때문이다. 5월 통관 기준으로 석탄·가스·원유·석유제품 등 원자재 수입액이 작년 같은 달보다 52.9% 급증했다. 반도체(27.6%), 수송 장비(23.7%) 등 자본재 수입액도 14.1% 증가했다.
한은은 “향후 원자재 등 수입금액이 상승하면서 상품수지 흑자폭이 당분간 지속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은 있다. 전달(6월)의 경우 통관 기준 수출입에서 무역수지가 24억7천만달러 적자를 지속했지만, 국제수지 계정 추계에서는 상품수지가 흑자를 보일 수 있고 상품수지 외에도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또다른 항목인 서비스수지와 본원소득수지 동향을 고려할 때 6월에도 경상수지가 흑자를 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올들어 5월까지 경상수지 흑자폭은 191억1천만달러다. 한은은 “5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올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폭(210억달러)은 달성 가능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5월 서비스수지는 2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1월(-4억9천만달러) 이후 4개월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서비스수지 중에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선박 컨테이너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1년 사이 10억6천만달러에서 14억7천만달러로 4억1천만달러 늘었다. 여행수지 적자액(-6억4천만달러)은 지난해 5월(-7억달러)보다 다소 줄었다.
자본수지 쪽을 보면 금융계정(내외국인의 국내 및 해외 직접투자와 증권투자)에서 순자산(자산-부채)은 5월 중 30억3천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4억7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13억7천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71억3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도 24억6천만달러 늘었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