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들의 경기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산업연구원 조사에서 철강을 비롯한 대부분 업종에서 3분기 전망을 전분기보다 어둡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제철 아산공장. 아산/윤운식 기자 yws@hani.co.kr
국내 제조업체들의 경기 전망이 더 어두워지고 있다. 금리 인상에 세계 경제 침체 분위기 탓으로 체감경기가 식고 있음을 시사한다.
산업연구원이 제조업체 1000개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벌여 10일 내놓은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3분기 시황과 매출 지수가 각각 95, 97로 나타났다. 전분기보다 각각 6포인트, 7포인트 낮아지며 100 아래로 떨어졌다. 전반적인 업황과 매출 사정이 전분기에 견줘 나빠질 것으로 보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기실사지수는 0~200 범위에 있으며 100 아래인 경우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전망보다 많음을 뜻한다.
내수(96)와 수출(99) 전망치 역시 전분기와 달리 하락하며 100을 다시 밑돌았다. 전분기 때는 각각 103, 104였다. 설비투자(101)와 고용(103)은 100을 웃돌았지만 전분기(102, 105)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업종별 매출 전망치를 보면, 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바이오·헬스와 이차전지 업종에선 100을 웃돌았으나, 디스플레이와 가전, 정유, 철강, 섬유 등 대다수 업종들은 100을 밑돌았다.
2분기 실적치는 전분기보다 약간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시황(90)과 매출(95) 경기실사지수는 전분기(88, 86) 대비 상승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내수(94)가 전분기(88)와 달리 상승했고, 수출(96) 역시 100을 밑도는 수준이긴 하나 전분기 88보다는 높았다. 설비투자(103)가 100을 약간 웃도는 수준에서 4분기만에 상승하고, 고용(100)은 기준선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2분기 매출 현황치는 정유를 비롯해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업종이 100을 상회하고, 화학과 철강 업종이 기준선을 회복한 반면, 나머지 업종들은 모두 100을 여전히 밑돌았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