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003건의 의결에 반대표는 21건 0.69% 불과
삼성·엘지 계열사 100%찬성 등 재벌기업 더 심해
삼성·엘지 계열사 100%찬성 등 재벌기업 더 심해
26개 기업 공시 분석결과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자 도입된 사외이사 제도가 여전히 제 구실을 못하고 경영진의 거수기 노릇을 하는 데 그치고 있다. 특히 삼성, 엘지 등의 주요 계열사들은 지난 한햇동안 이사회에서 사외이사의 반대가 한 건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가 시가총액 상위 50대 기업(증권선물거래소 기준) 가운데 27일 현재 올해 ‘주주총회 소집통지·공고사항’ 공시를 통해 사외이사의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 여부 내역을 공개한 26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26개 기업의 사외이사들은 지난해 1년 동안 모두 609개 안건에 대해 3003건의 의결에 참여했으나 반대 의사를 던진 경우는 0.69%인 21건에 불과했다. 기권표를 던진 경우는 8건이었으며, 의안 문제로 의결을 수정 또는 보류한 경우가 각각 10건과 2건이었다.
특히 삼성전자·현대자동차·엘지전자·에스케이네트웍스·에쓰오일·케이티앤지·대우조선해양·신세계·씨제이·태평양·지에스건설 등 주요 대기업 21곳에서 사외이사의 반대 표결이 한번도 이뤄지지 않아 재벌기업의 사외이사들이 대부분 제구실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들이 반대 의견을 표시한 기업은 포스코(8건), 에스케이㈜(5건), 에스케이텔레콤(6건), 케이티(1건), 현대오토넷(1건) 등 5곳에 불과했다.
삼성의 경우 조사 대상 26개 기업에 포함된 삼성전자·삼성에스디아이·삼성전기·삼성물산·삼성중공업 사외이사들이 100% 찬성률을 보였으며, 엘지 계열사인 엘지전자·엘지필립스엘시디·엘지화학·엘지카드 사외이사들도 마찬가지였다. 현대 계열사인 현대자동차·현대모비스·아이앤아이스틸·현대오토넷 가운데서도 현대오토넷에서 한 차례 반대 의견이 나왔을 뿐 나머지는 모두 찬성 일색이었다.
이에 비해 에스케이텔레콤은 반대 표결 6건, 기권 8건 등이 있었으며, 에스케이㈜도 5건의 반대표결이 있어 상대적으로 에스케이그룹 사외이사들의 활동이 활발했다.
반대 의견이 나온 기업들 가운데 포스코는 지난해 10월 포스텍 국제관과 기숙사 건립 시설비 출연계획안에 대해 당시 참여한 사외이사 8명이 모두 반대했다. 에스케이㈜는 지난해 3월 우선주 소각안과 같은해 6월 임원배상 책임보험 가입안에 각각 2명의 사외이사가 반대했다. 에스케이텔레콤에서는 지난해 5월 에스케이텔레텍 지분 매각안에 7명의 사외이사 중 3명이 반대했고, 같은 해 5월 음악사업을 위한 투자조합 출자 및 지분취득안에 사외이사 2명이 반대하는 등 비교적 반대의견이 많았다. 이 밖에 대우인터내셔널 사외이사 2명은 지난해 11월 임원인사관리규정 개정안에 대해 수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류 의사를 표시했고, 케이티앤지 사외이사 10명도 2005년 2월 이사의 보수한도액 책정안을 수정하자는 의견을 보였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반대 의견이 나온 기업들 가운데 포스코는 지난해 10월 포스텍 국제관과 기숙사 건립 시설비 출연계획안에 대해 당시 참여한 사외이사 8명이 모두 반대했다. 에스케이㈜는 지난해 3월 우선주 소각안과 같은해 6월 임원배상 책임보험 가입안에 각각 2명의 사외이사가 반대했다. 에스케이텔레콤에서는 지난해 5월 에스케이텔레텍 지분 매각안에 7명의 사외이사 중 3명이 반대했고, 같은 해 5월 음악사업을 위한 투자조합 출자 및 지분취득안에 사외이사 2명이 반대하는 등 비교적 반대의견이 많았다. 이 밖에 대우인터내셔널 사외이사 2명은 지난해 11월 임원인사관리규정 개정안에 대해 수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류 의사를 표시했고, 케이티앤지 사외이사 10명도 2005년 2월 이사의 보수한도액 책정안을 수정하자는 의견을 보였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