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한국의 경기 회복세가 약화하고 있고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연구원은 7일 펴낸 ‘경제동향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서비스업 개선에도 대외 수요가 둔화하며 경기 회복세가 약해지고 있다”며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이 파급되며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달 전 “제조업 부진이 완화하며 완만한 경기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던 데서 더 부정적으로 바뀐 것이다. 연구원이 경기 회복세 ‘약화’를 언급한 것은 석달 만이다. 지난 6월에는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원자재 가격 급등 등 나빠진 대외여건을 꼽으며 올해 처음으로 ‘경기 회복세 약화’ 분석을 내놓았다가, 7∼8월에는 ‘완만한 경기 회복세’라고 평가한 바 있다.
어두워진 경제 전망의 주된 배경은 수출 둔화와 반도체산업 경기 하강 우려다. 8월 수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6.6%로, 7월 증가율(9.2%)보다 낮아졌다. 특히 내수 둔화를 겪고 있는 중국발 수출이 8월 5.4% 감소해, 감소폭이 전달(2.7%)보다 2배 커졌다. 반도체 수출은 수요 감소와 수출 가격 급락으로 7.8% 줄어 2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앞서 7월 반도체산업 가동률은 119.5로 고점이었던 4월(139.4)에서 14.3% 하락했고, 재고율은 95.7%로 전월 63%에서 크게 올랐으며, 반도체 수출 가격은 18.5% 하락하는 등 하강을 시사하는 지표도 늘고 있다. 반도체 재고가 쌓이며 7월 제조업 재고율은 125.5%로 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구원은 경기 회복세 약화 요인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쉽지 않다고 짚었다.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주요 도시 봉쇄를 이어가고 있고, 국내외 금리 인상 기조도 계속될 상황이라서다. 연구원은 “반도체 산업 경기하강은 향후 우리 경제 성장세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