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22일 서울역 인근의 치킨집에서 음식점주들과 만나 현장 고충을 듣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22일 배달 중개앱 3사 대표들을 만나 ‘온라인 플랫폼 자율규제’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 위원장이 취임 뒤 첫 현장 행보를 통해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인상 등 이른바 ‘플랫폼 갑질’ 문제를 법적 제재 대신 업계의 자율규제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한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공정거래조정원에서 김범준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대표, 서성원 위대한상상(요기요) 대표,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를 만나 소상공인 부담 완화와 상생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한 위원장은 “배달앱을 이용하는 음식점주와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고, 어려운 시기를 함께 헤쳐 나가기 위한 자발적인 상생 노력이 절실하다”며 “자율규제가 잘 정착된다면 플랫폼 시장의 혁신 성장을 유지하면서도 시장 참여자 간 많은 이슈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달앱 대표들은 플랫폼 자율규제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범준 대표는 “거래 관계에서 투명성을 높이고 교육·정보 제공 등과 같은 협력을 통해 입점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서상원 대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동반 성장을 위해 협업할 수 있는 소통의 시간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앞서 한 위원장과 배달앱 대표들은 서울역의 한 치킨집(배달앱 입점업체)을 찾아 현장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점주 심아무개씨는 “2만원짜리에 배달비가 5천원이어서 치킨 가격이 비싸다는 불만이 나온다. 배달비와 중개수수료, 인건비를 빼면 남는 게 얼마 없다”고 불만스러워했다. 이에 배달앱 대표들은 앱 서비스를 효율화할 수 있는 요금제 등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민간 스스로 자율규제 방안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달 ‘플랫폼 민간 자율기구’를 출범시켰다. 지난 20일엔 ‘소비자·이용자분과’의 첫번째 회의가 열리는 등 각 분과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날 한 위원장은 플랫폼 자율규제안 발표 시기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사회적 논의 기구에서 회의가 진행되고 있고, 결과가 나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