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시멘트 업체의 가격 인상에 대응해 ‘10일 셧다운(조업중단)’을 선언했던 중소 레미콘업체들이 시멘트업계와 협상을 위해 조업중단을 일단 유보하기로 했다.
900여 업체가 모인 중소 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는 9일 보도자료를 내어 “시멘트업계와 협상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 애초 10일로 예고했던 조업중단을 열흘 동안 유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형 시멘트사들이 올해 상반기 톤(t)당 시멘트 가격을 17~19% 인상한 데 이어 하반기 또 한 차례 가격을 올려 톤당 10만원대로 시멘트를 공급하겠다고 통보하자, 중소 레미콘업계는 원가 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며 조업중단을 예고한 바 있다. 레미콘업계는 “시멘트 가격 급등으로, 적정 납품단가를 보장받지 못하게 됐다”며 “시멘트업계가 계획대로 하반기에도 가격을 인상할 경우 10일부터 셧다운에 돌입하겠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건설 현장에서 조업 차질을 빚을 우려가 제기됐다.
시멘트업계와 중소 레미콘업계의 이런 ‘강 대 강’ 맞대응에 지난달 28일과 이달 7일 동반성장위원회와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재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중소 레미콘업계는 지난달 회의에서 “하반기 가격 인상분을 내년 3월1일자로 적용할 것”을 시멘트업계에 요구했지만, 시멘트업계가 이를 거부해 접점이 보이지 않았다. 이어 이달 7일 열린 회의에서는 레미콘업계와 시멘트업계가 한발씩 양보해 하반기 인상분을 내년 1월1일자로 반영하기로 다수 의견을 모았지만, 한일시멘트가 내달 1일 인상을 고수함에 따라 협상이 무산된 바 있다.
중소 레미콘업계 비대위는 “쌍용 씨앤이(C&E), 성신양회, 삼표시멘트, 한라시멘트가 하반기 가격 인상분을 내년 1월에 반영하는 안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만큼, 건설 현장의 피해를 막기 위해 우선 생산 중단을 10일간 유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일시멘트와의 협상은 진전이 없어 별도의 방안을 마련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