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던 한국인의 무비자(사증 면제) 일본 관광 재개를 하루 앞둔 지난 10일 오후 인천공항 1터미널 안내 화면. 연합뉴스
30일부터 김포공항과 일본 도쿄의 하네다 공항을 잇는 국제 항공편이 주 28회에서 주 56회로 2배 늘어난다. 인천∼호주 브리즈번 등 일부 국제선은 3년 만에 운항이 재개된다.
국토교통부는 30일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2년 동계기간(2022년 10월30일∼2023년 3월25일) 국제선과 국내선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를 인가했다”고 밝혔다.
인가된 국제선은 74개 항공사 162개 노선이다. 이에 따른 국제선 운항 규모는 코로나19 이전(2019년 동계기간)에 견줘 58% 수준이다. 동남아·미주·유럽 등 노선은 약 70%, 대양주·중동 노선은 약 90% 이상 회복이 전망된다. 그러나 동북아 노선은 회복 예상 수준이 46%로 낮다. 일본의 방역규제가 해제되었지만, 중국의 입국 제한 정책은 지속되고 있는 영향이다. 국토부는 “수요 회복 추이를 고려해 추가 증편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 경우 국제선 전체 운항 회복률(코로나19 이전 대비)은 최대 60%까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162개 노선 가운데 29개 노선은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약 3년 만에 운항이 재개된 경우다. 인천∼호주 브리즈번(주 3회)·팔라우(주 4회)·마카오(주 29회)·이스라엘 텔아브비(주 3회) 노선이 운항을 재개한다. 또 인천∼일본 오키나와(주 25회)·일본 다카마쓰(주 7회) 등 일본 지방노선 운항도 재개된다. 김포∼하네다 노선은 주 28회에서 56회로 운항 횟수가 늘어난다.
중국 노선과 관련해 국토부는 “아직 고강도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중국과 운항규모를 주 30회에서 주 68회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며 “협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해공항, 대구공항, 제주공항 등 지방공항의 국제선 운항 규모도 대폭 증가한다. 김해공항은 김해∼후쿠오카·삿포로·나리타·오키나와 등 주요 일본 노선이 확대된다. 대구공항은 코로나19 이후 중단됐던 대구∼홍콩·일본 나리타 노선이 재개된다. 제주공항은 제주∼후쿠오카·나리타·오사카·홍콩 등 노선이 재개된다.
국제선 항공편 여객 수는 올 1월에는 8만1천명이었지만, 10월 셋째 주에는 58만6천명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10월과 비교하면 여객 회복률이 35.3%다. 이번 달 들어 입국 뒤 유전자증폭(PCR) 검사 지침이 폐지됐고, 일본의 방역 규제가 지난 11일 해제되면서 지난달 회복률(27%)에서 8.3%포인트 올랐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