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서울 광진구 동서울우편물류센터에서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국내 취업자 수 증가 규모(전년 대비)가 올해 79만명에서 내년 8만여명으로 대폭 감소하리라는 국책 연구기관 전망이 나왔다. 올해 고용시장이 반짝 호황을 보인 데 따른 기저효과와 주요 노동인구 감소 등의 영향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일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2023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79만1천명(전망치 기준)보다 크게 축소된 8만4천명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올해의 9분의 1 남짓으로 쪼그라들 것이라는 얘기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지연 케이디아이 연구위원은 “내년에도 양호한 고용 여건이 이어지겠지만, 인구 구조의 변화가 취업자 수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기저 효과도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고용 환경 변화가 내년 취업자 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올해 77만1천명에서 내년 10만2천명으로 대폭 축소될 것으로 추산했다. 올해 코로나19 대응 및 비대면·디지털 경제 전환 등으로 호조세를 보인 방역과 돌봄, 정보기술(IT) 및 배달 인력 등의 취업 증가세가 경기 둔화와 기저 효과 영향으로 주춤하리라는 것이다. 다만 민간 소비 증가로 대면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회복세를 보이며 전반적인 일자리 여건은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17∼2019년 수준을 약간 넘어서는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김 연구위원은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30∼59살 핵심 노동 인구 감소 등 국내 인구 구조 변화가 내년 취업자 수를 1만8천명 줄이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인구 구성 변화가 취업자 수 2만명 증가에 기여한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 2012년 정점을 찍은 핵심 노동 인구 수가 본격적인 감소세로 보이며, 내년부터 인력 공급 절벽 현상이 나타나리라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핵심 노동 인구 비중이 지속해서 줄어들고, 15세 이상 생산 가능 인구도 낮은 출산율 등으로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인구 구성 변화와 인구 수 변화 모두 취업자 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노동 투입 감소는 우리 경제의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일·육아 병행 문화 조성과 제도 개선,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독려 등 노동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노동 공급의 양적 개선과 함께 노동 생산성을 높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력 양성 시스템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