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지분 많을수록 기업 시당가치 높아져 대기업에 더 강한 감시 외국인 투자가 기업가치를 올려놓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외국펀드인 아이칸의 케이티앤지 경영권 위협을 계기로 논의되고 있는 경영권 방어대책 강화와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규제 문제는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 한국증권연구원은 6일 “외국인투자자와 기업가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지분이 많은 기업일수록 시장에서 기업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는 외국인의 외부 감시 기능이 기업 경영에 긍정적 효과를 낳은 것으로, 외국인투자자는 기업집단 소속 기업에 대해 더욱 강한 감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빈기범 연구위원과 강원철 연구원이 함께 연구·분석한 이 내용은 한국증권연구원이 발행한 ‘자본시장포럼’ 2006년 겨울호에 실렸다. 분석 결과, 외국인 지분이 1.98% 이상인 기업 1132개사의 평균 토빈큐 지수는 0.9284로 가장 높게 나온 반면, 외국인 지분이 전혀 없는 기업 514개사의 평균 토빈큐 지수는 0.8055로 가장 낮게 나왔다. 외국인 지분이 1.98% 이하인 1131개사는 0.8117로 분석됐다. 이 연구는 1998~2003년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중 제조업체 2777개(중복 포함)를 대상으로 외국인 지분·국내 기관투자가 지분·기업 규모 등과 함께 기업가치에 대한 척도인 ‘토빈큐’ 지수(최대치 1)를 변수로 이용했다. 빈 연구위원은 “기업의 전체 자산이 시장에서 평가받는 가치인 ‘토빈큐’가 외국인 지분이 높을수록 높게 나왔다”며 “외국인 지분과 토빈큐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렇게 볼 때 외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평가는 실증적 근거가 빈약하고 과장된 측면이 크다”며 ”케이티앤지의 경우 아이칸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경영성과를 극대화하고 기업가치를 높여 우호주주를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주총 의결서 87% 찬성 사외이사 선임도 “통과” 영향력 늘어도 견제 소홀 기관투자가들이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횟수를 늘리고 있음에도, 안건 100개 중 98건 꼴로 찬성하며 여전히 ‘거수기’ 구실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증권선물거래소 집계를 보면, 올들어 2월까지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상장법인의 정기주총과 관련한 기관투자가들의 의결권 행사 공시 건수는 736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532건보다 204건(38.3%) 늘어난 것이다. 3월 셋째주까지 주총을 열기로 한 기업이 지난해 370개보다 적은 338개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 기관의 의결권 행사 증가는 그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의결권 행사 내용을 따져보면, 여전히 찬성비율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전체 의결권 행사 공시 중 찬성 의결권 행사 비율은 98.53%인 반면 반대 의결권 행사 비율은 0.33%에 그쳤다. 특히 기업지배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외이사 선임에 대해 대부분 찬성하고 있어 경영권에 대한 비판·감시 기능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아예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한 기관도 7개나 됐다. 실제로 사외이사 등 ‘임원 선임’에 반대 의결권을 행사한 경우는 성신양회 지분을 소유한 세이에셋코리아자산운용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한비엔피파리바투자신탁운용과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각각 일성신약과 송원산업의 재무제표 승인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또 삼성테크윈과 삼성엔지니어링의 이사 보수한도 승인안에 대해서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반대표를 던졌다. 지난해에 견줘, 그나마 찬성 비율이 0.31%포인트 줄고 반대 비율이 0.05%포인트 늘어 다소 나마 나아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증권 전문가들은 “지난해 증권시장의 활황으로 투자자들이 맡긴 간접투자자산 규모가 대폭 늘면서 기관의 지분율이 높아져 의결권 행사가 많아졌다”며 “투자자의 이익을 엄밀히 따져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가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