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티앤지 “경영권 큰 영향 없다”
아이칸토 “주주이익 극대화 차원”
“주총대결 당연한데 의도적 호들갑”
아이칸토 “주주이익 극대화 차원”
“주총대결 당연한데 의도적 호들갑”
‘케이티앤지 사태’는 결국 찻잔 속의 태풍이었나?
외국 투기자본 아이칸의 국내 우량기업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 시도라는 ‘케이티앤지 사태’가 그동안 지나치게 확대포장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곽영균 케이티앤지 대표이사는 7일 아이칸이 경영권 위협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아이칸의 요구가 주주이익 추구 차원에서 이뤄진 자연스런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 보수언론과 재계가 투기적 외국자본의 공격에 국내 우량기업의 경영권이 무방비상태에 놓였다며 호들갑을 떨어온 것을 무색하게 하는 대목이다.
경영권 방어 문제없다=곽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주주총회에서 칼 아이칸 쪽 사외이사 1명이 들어올 수 있다”면서도 “12명 이사진에 아이칸 쪽 사외이사가 들어오더라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케이티앤지 쪽 우호지분이 40%, 아이칸 쪽이 35%라는 분석에 따라, 아이칸 쪽이 집중투표제가 적용되는 주주총회에서 두 명의 사외이사 후보 가운데 한 명에게 표를 몰아줄 경우를 예상한 것이다. 케이티앤지는 아이칸의 공개매수 실현도 불투명하며, 설령 성공한다 하더라도 경영권에 큰 위협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곽 대표는 “공개매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그 가격 이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을 때 가능한 것이므로 아이칸 쪽이 진지하게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며 “공개매수가 성공해도 임시주총 개최 여부는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것이므로 위협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진 엠앤에이 연구소장은 “아이칸 쪽이 지금으로선 공개매수에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아이칸 쪽도 최근 ‘주식 인수 제안’이 ‘공개매수’로 잘못 보도됐다고 불만을 표시하며 해명한 바 있다.
주주 이익 추구는 당연=곽 대표는 케이티앤지 사태를 ‘경영권 분쟁’으로 표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영권 분쟁이 아니라 주주 가치를 어떻게 추구하느냐의 차이에 따른 것”이라며 “아이칸의 목적도 주주이익 추구 차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장기적 관점에서 대안을 마련하겠다”며 “최선의 경영권 방어 수단은 주가를 높여 주주를 만족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적 우호지분 확보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상철 케이티앤지 경영전략국장은 “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사모펀드를 만들어 케이티앤지 지분을 매입하도록 하는 방안을, 우리투자증권·골드만삭스·리먼브러더스 등 자문사들이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이칸은 보도자료를 통해 “곽 대표이사가 케이티앤지 투자자의 바람을 묵살하고 우리의 제안을 모두 거절했다”며 “이는 열악한 지배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투자자문사 글래스루이스앤컴퍼니가 아이칸 쪽 사외이사 후보 2명 지지를 밝힌 데 대해 환영한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인 김상조 한성대 교수(경제학)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프록시 파이트(위임장 대결)를 통해 주총에서 동의를 얻어 주주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지나치게 확대 해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달 넘는 호들갑, 이유는?=한달이 넘도록 케이티앤지 사태는 부풀려져 왔다. 재계와 일부 언론은 경영권 방어책이 보완되지 않으면 외국 자본이 한국 기업을 장악할 것처럼 떠들었고, 여론은 ‘외국자본 악마론’으로 치달았다. 김영진 소장은 “적대적 인수합병에 대한 방어책으로 애국심을 이용하려 드는 경우가 있는데, 사회주의 국가가 아닌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는 그릇된 행태”라고 비판했다. 김상조 교수는 “우리나라 상장등록 법인이 1700여개인데, 1년에 케이티앤지와 같은 일이 한두건 생기지 않는 게 오히려 비정상적”이라며 “이를 이용해 비정상적인 경영권 방어장치를 도입하려는 일부의 의도는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미국과 달리 독립적 사외이사와 적극적인 기관투자가의 바탕이 없으면서 경영권 방어장치만 강화되면 외부 견제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위임장 대결까지 불가능하게 하는 경영권 방어장치는 자본주의에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