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건물에 설치된 현금인출기. 연합뉴스
국내 주요 지도플랫폼에서 검색되는 금융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ATM)·지점의 위치 정보 검색 결과가 더 확대된다.
15일 금융위원회는 기존 금융 맵 서비스 ‘금융대동여지도'에서 제공하는 금융권 현금자동입출금기와 지점 위치정보를 16일부터 네이버지도, 티맵, 현대·기아차 내비게이션 등 국내 주요 지도플랫폼에서도 조회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금융맵 DB 연계 민간 지도플랫폼(예시). 금융위원회
금융위와 한국은행은 지난해 11월 금융결제원, 금융권과 함께 범금융권 에이티엠·지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핸드폰으로 조회 가능한 금융맵서비스 ‘금융대동여지도'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금융소비자가 금융맵 애플리케이션 등을 별도로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금융당국은 대중적인 지도플랫폼을 통해서도 금융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채널 확대를 추진해왔다. 민간 지도사업자들 또한 에이티엠·지점 위치 검색은 가능하나 금융회사로부터 비정기적으로 정보를 입수해 일부 정보가 누락되거나 변경된 정보가 신속하게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서비스 제공 채널 확대로, 네이버지도의 경우 금융맵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로 에이티엠과 지점의 수가 각각 320%, 13% 증가한다. 금융위는 “금융소비자들의 금융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며 “폐쇄 예정 정보, 장애인 지원 기능 등 지도플랫폼에 반영되는 서비스 정보를 더 다양화하겠다”고 밝혔다.
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