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지난해 4분기에 0.4% 역성장했다. 수출과 민간소비가 동시에 감소하면서 2년 반 만에 첫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2.6%였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계절조정 기준)이 전 분기보다 0.4% 감소했다고 26일 밝혔다. 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코로나19로 수출이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 2분기(-3.0%) 이후 처음이다. 이번 4분기 속보치는 -0.3% 안팎이었던 시장 전망치에는 대체로 부합하는 수준이다.
4분기에는 수출이 마이너스 추세로 돌아섰다. 반도체와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 분기에 견줘 5.8% 감소했다.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진이 급증하고 반도체 경기가 악화한 영향이 컸다. 수입도 원유와 1차 금속제품 위주로 4.6% 줄었다.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0.6%포인트였다.
지난해 2분기와 3분기에 성장률을 방어해줬던 민간소비도 주춤했다. 민간소비는 가전제품이나 의류 등 재화와 숙박·음식 등 서비스가 모두 줄면서 0.4% 감소했다. 이태원 참사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 지출 등을 중심으로 3.2% 증가했고,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각각 0.7%, 2.3% 늘었다.
이로써 지난해 연간 경제성장률은 2.6%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한은이 발표한 전망치(2.6%)와 같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감소하고 수출과 수입도 증가세가 둔화했으나, 민간소비는 전년보다 높은 4.4% 성장률을 나타냈다. 한은은 올해에는 경제성장률이 1%대 중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