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도우체국 소속 김해현 집배원이 지난 1월5일 부산시 영도구 청학동의 한 반지하 가구에 복지등기우편을 전달한 뒤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있다. 부산/정인선 기자
우정사업본부가 지난해 7월부터 부산 영도구 등 8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운영해온
‘복지등기우편’ 서비스를 오는 4월3일부터 전국으로 확대한다.
복지등기우편이란 지자체가 위기 징후 가구나 홀몸 노인 가구 등을 선정해 복지 관련 안내문이 들어있는 등기우편물을 매달 한두차례 발송하는 서비스다. 등기우편물을 배달하는 집배원이 해당 가구의 주거 환경과 생활 실태를 파악하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지자체로 회신하면, 지자체가 이를 통해 각 가정의 상황을 파악해 공공·민간 서비스와 연계하는 등 지원에 나선다.
29일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부산 영도구, 전남 영광군, 서울 종로·용산·서대문구, 강원 삼척시, 충남 아산시, 광주 북구 등 8개 지자체에서 이뤄진 시범 서비스 동안 총 6279통의 복지등기우편이 발송됐다. 이 가운데 622가구가 기초생활수급자·장애인 등록 신청, 긴급 생계비 신청, 통 요금 감면 등 공공서비스 혜택을 새로 받게 됐다. 공공서비스 지원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254가구도 민간 지원기관과 연계돼, 생필품과 식료품 등을 지원받았다.
우정사업본부는 시범 서비스 기간 중 종이로 작성하던 체크리스트를 집배업무용 피디에이(PDA·개인용 디지털 단말기)에 전자화했다고 밝혔다. 또 지자체가 복지등기우편을 보내는데 드는 우편요금의 75%를 우체국공익재단 예산으로 지원하고, 생필품 직접 지원도 추진하는 등 더 많은 지자체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그동안 논란이 된 ‘수원 세 모녀 사망’, ‘신촌 모녀 사망’ 사건 등 위기 가정의 비극적 사고나 고독사 등을 미리 막는 데에 복지등기우편 서비스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며 “올해 말까지 50곳 이상의 지자체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손승현 우정사업본부장은 “복지등기우편서비스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을 줄 수 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생활 밀착형 인프라를 가진 정부기관이라는 소명 의식을 갖고 공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