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2017년 7월 80량짜리 장대화물열차를 시험운행하는 모습. 한국철도공사 제공.
정부가 철도를 통한 물류 수송량을 2026년까지 연 5천만톤으로 늘리겠다고 6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철도화물 수송량에 견줘 약 2배 수준이다.
국토교통부가 6일 발표한 ‘제2차 철도물류산업 육성계획'을 보면, 정부는 장대화물열차를 도입하고 고속화물열차 비중을 늘려 철도 수송량을 늘릴 계획이다. 철도물류산업 육성계획은 정부가 5년마다 세우는 법정계획으로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철도 물류 수송량은 감소세다. 2010년 3922만톤에서 2021년 2678만톤으로 31.7% 줄었다. 이는 석탄 등 전통적 철도운송 품목의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또 철도 수송은 역간 수송 말고도 화물 상하역과 셔틀운송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구조적 한계도 작용했다. 그런데도 정부가 철도 수송량 확대 목표를 세운 것은, 탄소중립 시대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비교적 적은 철도 수송을 강화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국토부는 “철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도로 수송에 견줘 약 3.8% 수준”이라고 밝혔다.
철도수송 확대를 위해 정부는 1회 수송량이 기존 열차에 견줘 50%가량 많은 장대화물열차를 도입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오봉역∼부산신항 구간에 장대화물열차 1개 편성을 정기 운행하고, 운행 편수를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 또 시속 120km급 고속화물열차 운행 비중을 32%에서 50%까지 늘리기로 했다. 시멘트, 철강 수송 용기를 컨테이너와 같은 형태로 표준화·규격화해 효율성도 높인다.
화물열차 지연 운행을 판단하는 기준을 기존 60분에서 여객열차와 같은 30분으로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자회사 등과 협력해 상하역, 셔틀운송 등을 아우르는 통합수송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간선철도로 운송된 화물이 곧바로 상하역, 화물 분류, 수송까지 이어지도록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물류시설도 구축한다. 경부선 경기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부산역 구간 등 1개 노선당 2개 이상 역에 복합물류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