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로디스틱스서비스(CLS) 퀵플렉스 노동자들이 24일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 산하에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성남·분당·일산 등 3곳에서 씨엘에스 지회에 가입한 노동자는 100명 안팎으로 알려졌다. 전국택배노조 쿠팡지회 제공
쿠팡의 물류배송 자회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씨엘에스·CLS) 쿠팡퀵플렉스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전국택배노조 쿠팡지회는 24일 서울 강남과 경기 분당, 일산 등 3곳에서 씨엘에스 지회 동시 창립대회를 열었다. 이들 3개 지회에 가입한 물류대리점 소속 노동자는 100여명 안팎으로 전해졌다.
씨엘에스지회는 창립 선언문을 통해 분류작업 노동자 전가, 다회전 배송을 통한 장시간 노동 강요, 프레시백 회수율 강제 등을 들어 “쿠팡이 기존 택배사들보다 더 나은 근로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상 상시해고·부당해고인 ‘클렌징’(구역 회수)을 무기로 노동조건을 후퇴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쿠팡이 택배사업자가 아닌 유통사업자로 분류돼 각종 법률이나 합의의 사각지대에 있다고 지적했다. 씨엘에스지회는 “이들은 유통사업자라는 이유로 각종 규제를 적용을 받지 않고 택배현장을 교란해왔다”며 “구역을 지정하지 않고 마음대로 회수하는 것은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위반이며, 분류작업 강요는 과로사방지 사회적 합의 위반”이라고 짚었다.
쿠팡로디스틱스서비스(CLS) 퀵플렉스 노동자들이 24일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 산하에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성남·분당·일산 등 3곳에서 씨엘에스 지회에 가입한 노동자는 100명 안팎으로 알려졌다. 전국택배노조 쿠팡지회 제공
지회는 이어 클렌징을 통한 해고 철회와 고용안정 보장, 생활물류법 준수, 분류작업 개선, 노동시간 단축, 프레시백 회수·세척 단가 현실화 등 ‘5대 요구안’을 놓고 투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와 노동사회연구소가 조사한 쿠팡 노동실태 조사결과를 보면, 쿠팡퀵플렉스 노동자들은 분류작업과 프레시백 세척 등으로 하루 173분의 ‘공짜노동’을 하고 있으며, 식사·휴게시간은 하루 18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클렌징이라 불리는 상시해고 압박을 당하는 등 고용불안에 시달라고 있으며, 10명 중 9명이 부당한 업무와 계약변경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쿠팡 쪽은 입장문을 내어 씨엘에스 지회 설립 과정에 민주노총 차원의 가짜뉴스 유포와 불법 선동이 개입됐다며 법적 조처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쿠팡 쪽은 “택배노조가 쿠팡과 무관한 외부 세력을 앞세워 성실하게 일하는 다른 비노조 택배 기사의 생계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개인 사업자인 택배기사는 대리점과 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있음에도 택배노조는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가 부당한 해고를 한 것처럼 허위사실을 주장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고객을 볼모로 불법 행위를 이어간다면, 법적 조치를 포함해 강력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