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일자리 게시판를 보는 구직자들. 연합뉴스
국내 취업자의 평균 나이는 46.8살이며 2050년에는 54살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50살 이상 고령 취업자의 일자리는 주로 비수도권 지역의 저부가가치 업종에 편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가 발표한 ‘취업자의 연령 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취업자의 평균 연령은 46.8살로 추정됐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바탕으로 현재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구한 결과로, 취업자 평균 연령은 2030년에 50살을 넘고 2050년에 53.7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2050년 취업자 평균 연령 예상치 43.8살보다 9.9살 높은 수준이다.
고령 취업자의 지역별·산업별 양극화는 갈수록 심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의 경우 지난해 50살 이상 비중은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과 사업지원(57.1%)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약(15.7%), 정보통신(16.8%),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과학기술(23.8%)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매우 낮았다. 보고서는 “제조업은 저위기술 산업, 서비스업은 부가가치가 낮은 노동집약적 산업을 중심으로 고령 취업자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보면, 50살 이상 취업자가 절반을 넘는 곳은 전남(58.7%), 경북(55.2%), 전북(53.9%), 경남(51.7%) 등이었다. 반면 서울(38.5%), 인천(42.6%), 경기(41.7%) 등 수도권과 대전(41.4%), 세종(34.5%)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서울을 제외하면 고령층 취업자 비중이 지난 10년간 10%포인트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김천구 연구위원은 “기업 입장에서는 고위기술직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할 정도로 고용기간이 남아 있는 젊은 인력을 선호한다”면서 “지역별로 고령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면 산업 생태계의 배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수도권 등에 고위기술 업종이 집중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