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불량지폐 리콜’ 사태가 일어난 원인은 한국조폐공사 직원의 어처구니 없는 ‘실수’와 공급일정에 쫓기는 과정에서의 안이한 일처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24일 재정경제부 감사담당관실의 ‘한국조폐공사 감사결과’를 보면, 지난해 12월18일 5천원권을 인쇄하는 경산공장에서 인쇄가 끝난 화폐전지 검사과정에서 문제가 일어났다. 5천원권 45장이 붙어있는 이 전지는 검사기계에 들어가면 합격품과 불량품으로 분류된다. 이어 기계 재검사와 직원이 맨눈으로 다시 살펴보는 인력검사를 또한번 거친다. 그런데 한 직원이 1차 기계검사에서 불량으로 분류된 화폐전지를 살펴보다, 이를 합격품 적재함에 잘못 집어넣었던 것이다. 그래서 홀로그램이 일부만 부착된 불량 화폐가 시중으로 흘러들어갔다.
또 이런 사실을 모른 상황에서 설 세뱃돈 사용 등으로 신권수요가 크게 늘어나자, 지난 1월3일 조폐공사는 기계에 의해 1차 확인된 불량전지에 대해선 아예 육안검사를 생략하라고 현장에 지시했다. 또 한은이 조폐공사에 납품물량을 늘려줄 것을 요구하자, 조폐공사는 재고상태로 남겨뒀던 일부 불량전지를 검사기계에 집어넣었다. 전지 한 장에 담긴 45장의 화폐 중 불량품 일부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정상화폐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한 검사원이 홀로그램이 붙어있지 않은 불량전지 1장을 합격품으로 잘못 분류하는 ‘실수’를 또 저질렀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