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7월 수출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노르웨이·에스토니아·리투아니아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감소 폭은 37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컸다. 우리 전체 교역량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빠르게 위축되는 상황이다.
24일 오이시디(OECD)의 월간 무역통계를 보면, 지난 7월 한국 수출액은 1년 전과 비교해 15.5% 줄었다. 오이시디 회원국 37개(콜롬비아 제외) 중 노르웨이(-50.2%), 에스토니아(-19.4%), 리투아니아(-16.4%)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 인구 5천만명 이상인 ‘30-50클럽’ 7개 나라로 좁히면 한국 수출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한국의 수출 감소폭은 지난해 12월(-10.1%)과 1월(-15.8%) 오이시디 회원국 가운데 2위를 기록했는데, 이후에도 지난 6월(-7.1%·17위)을 제외하면 반년 이상 ‘수출 감소폭 4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다.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구조가 꼽힌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전체 교역액의 20.9%(올해 1~7월)를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이다. 코로나19 봉쇄 이후 경제 활동을 재개한 중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면서 우리 수출도 되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대중국 수출은 2022년 6월부터 14개월째 전년동기대비 감소세다.
수입액은 수출보다 감소 속도가 더 빠르다. 한국의 7월 수입은 지난해 같은달 대비 25.4% 줄었다. 오이시디 37개 나라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이다. 20% 이상 수입이 줄어든 유일한 나라이기도 하다. 수입액이 줄어든 주된 요인은 에너지·원자재 가격 하락이다.
우리 수입액의 20%에 달하는 원유·가스·석탄의 7월 수입액은 1년 전보다 47% 줄었다. 수출제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중간재 수입이 줄어든 점도 한몫했다. 7월 반도체·철강 제품·반도체 장비 등 에너지 제외 품목 수입액도 전년 동기대비 16.8% 줄었다. 국내 경기 및 수출 부진이 수입액 감소에도 영향을 준 것이다. 큰 폭의 수출·수입액 감소는 대외 교역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수출 교역 감소로 정부의 ‘상저하고’(경기가 하반기에 나쁘고 하반기에 좋음) 전망에도 먹구름이 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