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시추선 외국서 모시기 경쟁…용선료 크게 올라 한국석유공사가 갖고 있는 국내 유일의 석유 시추선 두성호가 고유가 시대를 맞아 ‘귀하신 몸’이 됐다. 각국의 석유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일감이 끊이지 않는 데다가 용선료까지 치솟고 있다. 두성호는 1984년 5월 대우조선소에서 건조된 이래 우리나라의 동해-1 가스전을 포함해 알래스카,중국,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에서 총 86공의 시추를 했다. 지금은 2004년 4월부터 베트남 해상에서 87번째 시추작업을 하고 있다. 오는 5월말이면 이 작업도 끝나지만 쉴틈이 없다. 타이 국영석유회사 요청으로 미얀마 해상으로 이동해 1년 동안 시추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1997년부터 2003년까지 두성호의 평균 가동률은 85%였으나 지난해 가동률은 안전검사를 받은 7일을 제외하고 98%에 달했다. 2005년부터 용선료도 크게 오르기 시작해 하루 4만~5만 달러이던게 지금은 10만 달러가 넘는다. 두성호는 지난해 22억원의 이익을 거뒀다. 올해는 미얀마에서의 시추작업만으로도 380억원의 이익을 낼 것으로 석유공사는 예상하고 있다. 석유공사 시추선사업처 한광렬 과장은 “세계적으로 시추선이 680여개나 되지만, 요즘엔 시추선을 구하기가 어려워 유례없는 호황을 맞고 있다”며 “주요 고객은 동남아시아인데 아프리카에서도 이용할 수 있느냐는 문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시추선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제2의 시추선을 건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투자비가 6억달러 넘게 들어가는데다, 지금의 호황이 계속된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이다. 한 과장은 “두성호는 작업가능 수심이 450미터인데 요즘은 몇천 미터 수심에서도 작업할 수 있는 심해용 시추선이 필요하다”며 “아직 우리는 심해용 시추선을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