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 다루는 조사4국이 맡아…편법증여 의혹 맞물려 주목
신세계 “정기조사일 뿐”
신세계가 2월 초부터 국세청의 세무조사를 받고 있다. 이번 세무조사는 지난주 참여연대가 총수 일가와 계열사 간 편법거래 실태를 공개한 뒤 신세계 경영진을 배임 혐의로 고발하기로 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신세계는 10일 “국세청에서 지난달 초부터 세무조사를 하고 있고, 이번주까지 조사가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라며 “조사를 진행한 곳은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라고 밝혔다.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과거 특별조사국으로 불린 곳으로, 론스타의 외화 밀반출 등 탈세 혐의가 짙은 업체에 대해 심층조사를 벌이는 곳이라는 점 때문에 조사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세청 안팎에서는 이명희 회장과 정재은 명예회장 부부, 그들의 2세들인 정용진 부사장, 정유경 상무 등 대주주 일가의 주식이동 과정에서 일부 탈법 증여와 탈루 혐의가 포착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 회장의 장남인 정 부사장이 지난해 신세계 지분을 4.86%로 높인 점과 관련해 편법증여 여부가 집중 조사대상이라는 관측도 있다.
신세계 쪽은 “2001년 정기 세무조사를 받은 뒤 5년 만에 다시 받는 정기조사일 뿐”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조사 시기가 참여연대 발표와 겹쳐서 곤혹스럽지만, 대주주와 관련한 주식거래가 있을 때마다 증여세를 내는 등 합법적으로 매듭지어왔다”고 해명했다.
정 부사장은 98년 4월 광주신세계의 주식을 주당 5천원에 25억원어치를 고스란히 인수했으며, 이 주식은 현재 15만원대로 뛰어올라 1240억원대의 주가차익이 생겼다. 이 과정에서 계열사 부당지원 등이 이뤄져 광주신세계가 삼성 에버랜드처럼 신세계의 경영권 승계 도구로 이용됐다는 의혹을 샀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