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7명 병원 입원 일본은 1명꼴 그쳐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피해자 10명중 7명은 병원에 입원할 정도로 입원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은 2004회계연도(2004년 4월~2005년 3월) 한국의 교통사고 부상자 입원율은 71.9%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 기간동안 교통사고 부상자 수는 89만8729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입원 환자수는 64만6454명이었다. 이런 입원율은 2003년 73.9%보다는 소폭 낮아진 것이지만 일본의 교통사고 피해자 입원율 9.1%보다는 7.9배나 높은 것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상해등급 8급 이하 경상자의 70.8%가 입원 진료를 받을 정도로 과도한 입원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보험사와 합의를 유리하게 하려는 보상 심리가 작용한데다 의료기관의 불필요한 입원 유도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교통사고의 대부분이 경미한 사고이지만 경찰에 신고하지 않고도 보상을 받을 수 있고 입원을 하면 더 많은 보험금을 탈 수 있다는 점도 작용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통원 치료가 가능한데도 입원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아 보험금이 누수되고 그 부담은 선량한 운전자가 지게 된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