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0%가 하위20% 8.3배
자영업자간 돈벌이 양극화
자영업자간 돈벌이 양극화
올해 1분기에 소득 상하위 가구의 소득격차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가장 많이 벌어져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양극화 현상이 해소되지 않음을 보여줬다. 이는 근로소득자의 소득격차는 다소 개선됐지만,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 대형 자영업, 영세 자영업 등이 포함된 자영업 가구의 소득격차가 점점 심하게 벌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1분기 가계수지 동향’을 보면, 우리나라의 2인 이상 가구 전체(전국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6만2천원으로 지난해 1분기의 293만8천원보다 4.2% 늘었다. 도시근로자 가구소득은 4.6% 늘어난 월평균 344만4천원이었다.
전국가구를 소득 순위별로 20%씩 5개 분위로 나눴을 때, 상위 20%(5분위)의 소득을 하위 20%(1분위)의 소득으로 나눈 소득배율은 8.36이었다. 전국가구 소득배율은 1분기 기준으로 2003년 7.81, 2004년 7.75, 2005년 8.22 등 2004년 이후 계속 확대되고 있다.
전국가구 중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득배율은 5.80으로 지난해 1분기(5.87)에 견줘 오히려 개선됐다. 이에 반해 자영업자와 무직자를 포함한 ‘근로자외가구’의 소득배율은 12.9로 지난해 1분기의 11.6에 비해서도 크게 악화됐다. 근로자외가구 가운데 소득 상위 20%는 소득이 5.4% 늘었지만, 하위 20%의 소득은 5.5%나 줄었다. 근로자외가구 하위 20%의 소득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이후 1년째 마이너스 성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이에 대해 “그동안 과다했던 영세자영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으며, 내수회복 효과가 상위 소득계층에 우선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며 자영업자의 소득분배는 당분간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재경부는 그러나 근로소득자에 대해선 “하위 20%의 근로소득 증가율이 경기회복 탓에 9.01%로 크게 늘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분배는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가구의 1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20만6천원으로 3.9% 늘었다. 항목별로는 교육비 지출이 월 3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9.9% 증가하는 등 가장 많이 늘어났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