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49만명 달해
지난해 준실업자 규모가 349만명으로 정부가 구직단념자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은 지난해 준실업자가 평균 348만5천명으로 전년의 328만4천명보다 20만1천명(6.1%) 늘었다고 밝혔다. 준실업자란 공식 통계상의 실업자와 주당 근무시간이 35시간 이하인 근로자, 구직단념자를 모두 합한 것이다.
지난해 준실업자의 증가는 주당 35시간 이하 근로자가 2003년의 241만7천명에서 257만2천명으로 6.4%, 구직단념자 역시 9만명에서 10만명으로 11.1%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실업자는 2003년 77만7천명에서 81만3천명으로 4.6%가 늘어나는 데 그쳤다.
연도별 준실업자 수를 보면, 2000년에 312만2천명에서 2001년 311만2천명, 2002년 310만8천명으로 두 해 연속 줄었으나, 2003년부터 다시 늘어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대책이 총취업자 수를 늘리는 데는 도움이 됐지만, 새로 창출된 일자리들이 대부분 한시적인 일자리여서 전반적으로 고용의 질은 더 떨어진 셈이다.
준실업자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눠 계산하는 ‘노동력 불완전 활용도’도 지난해 14.9%로 2000년 이래 가장 높았다. 노동력 불완전 활용도는 2000년 14.1%에서 2001년 13.9%, 2002년 13.6%로 두 해 연속 떨어졌다가 2003년에 14.3%로 높아진 뒤 2년 연속 상승했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노동력 불완전 활용도가 높아지면 성장잠재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