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덩치 키우기’ 2위 도약 노려
일본 고급화·차별화 가속 ‘승부수’
한국 기술·규모 ‘두토끼’ 선점전략
일본 고급화·차별화 가속 ‘승부수’
한국 기술·규모 ‘두토끼’ 선점전략
세계 1, 2위 철강업체 미탈스틸과 아르셀로의 합병으로 국제 철강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특히 세계 경제성장의 중심인 중국과 인도 시장을 둘러싼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세 나라 철강업체들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철강업계는 다시 커다란 지각변동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미탈스틸은 1990년대 들어 15건이 넘는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했고, 아르셀로 또한 2002년 유럽 철강회사들의 합병을 통해 만들어진 회사여서 두 회사의 합병은 초대형화로 나아가고 있는 세계 철강업계 새틀 짜기의 결정판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정작 전문가들은 중국 쪽에 눈길을 돌린다. 중소업체들을 통폐합하면서 급속하게 몸집을 키워가고 있어 조만간 미탈-아르셀로에 버금가는 초대형 업체의 등장이 예견되고 있다. 여기에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급강 독점체제를 노리는 일본, 규모의 경제와 기술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한국이 어우러져 아시아 철강시장은 삼국지 같은 혼전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 구조조정 통한 대형화=중국 최대 철강업체 바오산강철은 세계 3, 4위인 신일본제철과 포스코를 뛰어넘는 초대형 그룹으로 변신 중이다. 지난 1월 안후이성 마안산강철(960만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공동 제품개발, 마케팅, 구매 등에 합의했으며, 허베이성의 한단강철(750만톤)을 인수했다. 이렇게 되면 연산 2300만톤에서 4천만톤으로 늘면서 세계 2위로 올라서게 된다. 이어 랴오닝성의 안산강철과 번시(본계)강철은 합병을 통해 안번(안본)강철그룹을 탄생시켰다. 연산 2300만톤으로 세계 6위 규모다. 상하이무역관 박민하(51) 관장은 “1년 만에 중국 철강 수입업체가 523개에서 100여개나 줄었다”며 “철강업계의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강력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구조조정을 서두르는 것은 공급과잉으로 철강 재고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고급화·차별화로 승부=미탈과 아르셀로가 합병하면 생산 규모가 3위인 신일본제철(3200만톤)의 3배를 넘게 된다. 하지만 일본은 생산 규모 확대보다 고급강 위주의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신일본제철은 지난 5월 자회사인 스즈키금속과 스미토모제강 등을 합쳐 스테인리스회사를 설립하는 등 고급강 부문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이런 고급강 위주 전략은 자동차 등 고급강에 대한 수요가 많은 산업과 함께 국외 진출을 해온 전통에서 비롯됐다. 일본 철강업체 관계자는 “도요타, 닛산과 함께가 아니라면 어디든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주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일본은 이미 확보한 기술력만으로 고부가가치 철강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굳이 규모의 경제에 집착하지 않는다”며 “중국 업체들이 대형화에 성공한다 해도 일본이 생산하는 고급강의 수요는 여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상하이에 있는 바오산강철의 바오산제철소. 포스코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