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매출 7천187억원, 영업익 180억원, 순손실 292억원
팬택앤큐리텔[063350]은 올 2분기 매출액 2천920억원, 순손실 319억원, 영업이익 2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영업이익률은 0.7%, 매출 대수는 178만9천대였다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올 1분기 대비 31.6%, 87.4% 떨어졌고 영업이익률 역시 전기(3.8%)에 비해 큰 하락세를 보였다.
회사 측은 "내수 판매량이 45만 대를 기록, 전 분기 대비 7%가 감소했고 해외 시장은 저가 '레이저폰' 의 모토로라 등 글로벌 업체들의 공세로 어려움을 겪었다"며 "특히 북미 사업자의 유통 재고로 해외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35% 떨어졌다"고 말했다.
팬택앤큐리텔은 한편 올 상반기에 매출액 7천187억원, 영업이익 180억원, 순손실 292원, 영업이익률 2.5%를 냈다고 집계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상반기 9천665억원에 비해 25.6% 떨어진 반면, 영업이익은 작년 영업손실 73억원에서 흑자 전환을 이뤘다.
회사 측은 이런 영업이익과 달리 순손실을 낸 것에 대해 ▲스카이 인수 대금 ▲SK교환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 ▲개발비 감액손실 등의 부담이 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팬택앤큐리텔 관계자는 그러나 "하반기 내수 부문에서 슬림형 단말기를 주력으로 가격 대비 효용성이 높은 제품을 대거 출시, 적극적인 판매 드라이브를 펼 생각"이라며 "해외 시장도 미국 시장의 유통재고가 소진되고 일본 KDDI에 가을 모델이 출시될 예정이라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또 향후 수익률이 낮은 해외 시장은 과감히 정리하고 한국, 북미, 중남미, 일본 등 4개 지역 시판에만 주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내수 시장에서는 모델 수를 대거 줄여 불필요한 비용을 줄인다는 전략이다. 국내 마케팅 담당의 윤민승 전무는 31일 서울 본사에서 열린 2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내수용 시판 모델을 예전 68개에서 35개로 줄여 1개 모델 당 30억원 가량의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VK[048760] 부도 이후의 내수 현황에 대해 윤 전무는 "저가 시장에서 VK가 차지하던 역할을 대신 맡게 돼 자사 브랜드의 위상이 더 높아졌다"며 "VK가 시장에서 굉장히 싼 값에 단말기를 내놓다 기세가 꺾이자 저가 단말기의 ASP(평균판매단가)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균 기자 tae@yna.co.kr (서울=연합뉴스)
회사 측은 또 향후 수익률이 낮은 해외 시장은 과감히 정리하고 한국, 북미, 중남미, 일본 등 4개 지역 시판에만 주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내수 시장에서는 모델 수를 대거 줄여 불필요한 비용을 줄인다는 전략이다. 국내 마케팅 담당의 윤민승 전무는 31일 서울 본사에서 열린 2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내수용 시판 모델을 예전 68개에서 35개로 줄여 1개 모델 당 30억원 가량의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VK[048760] 부도 이후의 내수 현황에 대해 윤 전무는 "저가 시장에서 VK가 차지하던 역할을 대신 맡게 돼 자사 브랜드의 위상이 더 높아졌다"며 "VK가 시장에서 굉장히 싼 값에 단말기를 내놓다 기세가 꺾이자 저가 단말기의 ASP(평균판매단가)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균 기자 ta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