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기업들이 사회공헌에 지출한 돈이 1조4천억원을 넘어섰다.
또 대부분의 기업들이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제도정비와 시스템 구축을 마무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44개 주요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해 7일 발표한 '2005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 백서'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지출한 사회공헌액은 1조4천25억1천만원으로 전년도의 1조2천284억3천200만원(227개 업체)에 비해 14.17% 증가했다.
주요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액은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 3천327억1천만원에 그쳤으나 2000년 7천60억6천만원, 2002년 1조865억9천400만원 등으로 해마다 증가해 왔다.
지난해의 사회공헌 지출을 분야별로 보면 교육.학교와 학술연구에 45.7%, 사회복지에 37.2%가 각각 사용돼 두 분야가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이밖에 △문화.예술.체육(7.4%) △국제구호활동(2.3%) △의료.보건(2.1%) △환경보전(1.6%) △응급 및 재난구호(1.5%) △기타(2.8%) 등에도 기업들의 지출이 이뤄졌다.
국제구호활동에 쓰인 자금은 매년 1%를 넘지 못했으나 지난해에는 동남아시아의 지진해일(쓰나미)과 미국 카트리나 피해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지원이 활발하게 펼쳐져 2%를 넘어섰다.
기업의 사회공헌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지난해 조사대상 기업들 가운데 이에 관한 기본방침을 명문화한 업체가 51.0%로 전년도의 23.8%에 비해 배이상 급증하는 등 사회공헌을 위한 사내제도와 시스템의 정비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공헌 전담부서를 설치하거나 전담자를 지정한 기업은 48.1%(전년도 26.7%), 사내위원회 등을 설치한 기업은 28.8%(11.4%), 예산제도를 완비한 기업은 57.7%(29.2%) 등으로 나타났다. 또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기업의 사회봉사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각종 지원제도를 마련한 기업도 늘고 있어 봉사활동 휴가제도를 택한 기업은 25.5%(전년도 9.4%), 사회봉사 활동자 표창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27.4%(14.9%), 사회봉사 활동자 등록제도를 시행하는 업체는 29.8%(9.9%)로 모두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한편 기업의 사회공헌 비용과는 별도로 기업재단의 지난해 자산규모는 3조5천320억9천만원으로 전년대비 43.3%, 이들 재단의 총사업비는 7천517억2천200만원으로 68.8%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재단의 목적사업은 교육(72.5%)이 가장 많았고 문화(36.3%), 사회복지(30.0%) 등 순이었으나 사업비 지출은 의료보건이 72.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며 문화예술(11.8%)과 교육.학술(7.4%), 사회복지(7.1%)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은 2002년을 기점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제도정비와 시스템 구축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최근의 추이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현금기부 중심에서 현장참여형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기업의 경우 교육.학술과 사회복지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은 반면 기업재단은 의료보건과 문화예술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아 기업과 기업재단이 나름대로 역할을 분담해가고 있는 양상"이라고 지적했다. 추왕훈 기자 cwhyna@yna.co.kr (서울=연합뉴스)
사회공헌 전담부서를 설치하거나 전담자를 지정한 기업은 48.1%(전년도 26.7%), 사내위원회 등을 설치한 기업은 28.8%(11.4%), 예산제도를 완비한 기업은 57.7%(29.2%) 등으로 나타났다. 또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기업의 사회봉사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각종 지원제도를 마련한 기업도 늘고 있어 봉사활동 휴가제도를 택한 기업은 25.5%(전년도 9.4%), 사회봉사 활동자 표창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27.4%(14.9%), 사회봉사 활동자 등록제도를 시행하는 업체는 29.8%(9.9%)로 모두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한편 기업의 사회공헌 비용과는 별도로 기업재단의 지난해 자산규모는 3조5천320억9천만원으로 전년대비 43.3%, 이들 재단의 총사업비는 7천517억2천200만원으로 68.8%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재단의 목적사업은 교육(72.5%)이 가장 많았고 문화(36.3%), 사회복지(30.0%) 등 순이었으나 사업비 지출은 의료보건이 72.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며 문화예술(11.8%)과 교육.학술(7.4%), 사회복지(7.1%)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은 2002년을 기점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제도정비와 시스템 구축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최근의 추이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현금기부 중심에서 현장참여형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기업의 경우 교육.학술과 사회복지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은 반면 기업재단은 의료보건과 문화예술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아 기업과 기업재단이 나름대로 역할을 분담해가고 있는 양상"이라고 지적했다. 추왕훈 기자 cwhyna@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