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유보율 700% 넘어
제조업체들이 돈을 벌어들여 쌓아두기만 하면서 유보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10대 그룹은 유보율이 700%를 넘어서 재무 안정성이 지나칠 정도에 이르렀다는 지적도 나온다.
21일 증권선물거래소 집계를 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상장 제조업체 539개사의 6월말 유보율은 평균 597.61%였다. 지난해 12월말 574.36%보다 23.25%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높은 유가와 원자재 값, 환율 하락 등 탓에 기업들의 수익성이 나빠졌지만 꾸준한 이익을 내면서 잉여금이 늘어난 게 원인이다. 유보율은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 영업활동·자본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자금 중 사내에 쌓아둔 정도를 나타낸다. 유보율이 높으면 재무구조가 우량하고 무상증자·자사주 매입·배당 등을 위한 자금 여력이 크다는 뜻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경우 자금이 투자 등 생산적 부문에 사용되지 않고 정체돼 있다는 부정적 측면도 지닌다.
10대 그룹은 유보율이 지난해 12월말 665.4%에서 6월말 706.2%로 높아져, 투자 부진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삼성이 1225.3%로 가장 높았고, 에스케이 1157.2%, 롯데 1008.1% 등 순으로 유보율이 높았다. 엘지그룹만 유일하게 잉여금이 줄어들어 유보율이 낮아졌다. 기업별로는 태광산업이 2만5712%로 유보율이 최고였고, 에스케이텔레콤 2만3198%, 롯데제과 1만7546%, 롯데칠성음료 1만4143%, 남양유업 1만2428% 등 순으로 나타났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