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시장 포화 ‘생존’ 거래…게임 주표적
일, 한국업체 발판삼아 중국진출 노림수
중, 막대한 자금력 무기 거래업체 ‘꿀꺽’ 중국과 일본업체들이 한국 디지털콘텐츠 업체 사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업체들은 한국 업체를 발판 삼아 중국 진출을 꾀하고 있고, 중국업체들은 거대해진 자금력 등을 무기 삼아 거래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업체들을 아예 삼켜버릴 태세다. 여러 콘텐츠 가운데 현재 이들의 주 표적이 되고 있는 분야는 게임이다. 디지털콘텐츠 중에서 현재 시장성이 가장 좋은 분야인 게임 쪽에서 한국업체의 기술력과 기획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기술 유출 ‘부메랑’ 우려 업계에서는 “한국 업체가 중국과 일본 업체에 인수되면서 기술과 인력이 고스란히 넘어가고 있다”며 “몇년 안에 한국에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 한국업체 인수작전?=이런 움직임은 최근 ‘생존’을 위해 국외 진출을 꾀하는 업체가 많아지면서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국내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경쟁이 심해지면서, 국외 진출이 가능하다면 외국업체에 인수·합병되는 것도 불사하겠다는 업체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 인수·합병(M&A)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수면 위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매물도 많이 나와 있고, 외국업체들의 ‘입질’도 많다”며, “특히 일본은 최근 인터넷 쪽으로 관심이 옮겨가면서 한국업체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업체의 최종 목표는 한국 시장이 아닌 중국 시장 진출에 있다. 지난해 국내 모바일콘텐츠업체 2곳의 인수·합병을 중개한 컨설팅회사 관계자는 “일본 업체는 중국의 반일감정을 자극하지 않고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 한국 업체를 이용하고 있다”며 “일본에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하기 전에 한국을 ‘테스트 지역’으로 삼으려는 의도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업체들은 막대한 자본과 거대한 시장을 무기로 거래관계에 있는 한국 업체를 “먹어버리는” 전략을 쓰고 있다. 지난해에는 액토즈소프트가 중국 안에서 자사게임을 서비스하던 업체에 인수 당해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국의 유명업체인 ㄱ사가 개발과 서비스분야를 나눠, 개발분야는 중국업체와 합작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중국업체와 합작하면서 게임개발 인력이 아예 중국업체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다”며 “중국업체는 한국업체의 기술을 그대로 복제하거나, 서비스해 큰 돈을 번 뒤 개발업체를 인수해버린다”고 말했다. ■ “콘텐츠를 사수하라”=전문가들은 이런 인수·합병을 인위적으로 통제하기는 어렵더라도, 기본적인 대책 마련은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유형오 게임산업협회 부회장은 “많은 회사들이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나 일본업체에서 제의가 들어오면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다”며 “생존차원에서 거래를 하다보니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외국업체는 이런 사정을 이용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현재 중국보다 2~3년 앞서 있는 기술 격차가 급속히 좁혀지고 있는 점도 고민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특히 온라인게임은 한번 선점하면 수명이 길기 때문에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도록 기획력과 기술력을 높이기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차원 대응전략 필요 전문가들은 개별 업체 차원에서 콘텐츠 기술 유출 및 기업 인수합병 문제 등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만큼, 정부 차원의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에서는 일방적인 보호정책을 펼 수 없다고 말하지만, 제도 바깥에서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우선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국가정보원 등에 흩어져 있는 콘텐츠 관련 부서를 모아 ‘콘텐츠전략위원회’같은 일원화된 창구를 만든 뒤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일, 한국업체 발판삼아 중국진출 노림수
중, 막대한 자금력 무기 거래업체 ‘꿀꺽’ 중국과 일본업체들이 한국 디지털콘텐츠 업체 사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업체들은 한국 업체를 발판 삼아 중국 진출을 꾀하고 있고, 중국업체들은 거대해진 자금력 등을 무기 삼아 거래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업체들을 아예 삼켜버릴 태세다. 여러 콘텐츠 가운데 현재 이들의 주 표적이 되고 있는 분야는 게임이다. 디지털콘텐츠 중에서 현재 시장성이 가장 좋은 분야인 게임 쪽에서 한국업체의 기술력과 기획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기술 유출 ‘부메랑’ 우려 업계에서는 “한국 업체가 중국과 일본 업체에 인수되면서 기술과 인력이 고스란히 넘어가고 있다”며 “몇년 안에 한국에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 한국업체 인수작전?=이런 움직임은 최근 ‘생존’을 위해 국외 진출을 꾀하는 업체가 많아지면서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국내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경쟁이 심해지면서, 국외 진출이 가능하다면 외국업체에 인수·합병되는 것도 불사하겠다는 업체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 인수·합병(M&A)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수면 위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매물도 많이 나와 있고, 외국업체들의 ‘입질’도 많다”며, “특히 일본은 최근 인터넷 쪽으로 관심이 옮겨가면서 한국업체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업체의 최종 목표는 한국 시장이 아닌 중국 시장 진출에 있다. 지난해 국내 모바일콘텐츠업체 2곳의 인수·합병을 중개한 컨설팅회사 관계자는 “일본 업체는 중국의 반일감정을 자극하지 않고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 한국 업체를 이용하고 있다”며 “일본에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하기 전에 한국을 ‘테스트 지역’으로 삼으려는 의도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업체들은 막대한 자본과 거대한 시장을 무기로 거래관계에 있는 한국 업체를 “먹어버리는” 전략을 쓰고 있다. 지난해에는 액토즈소프트가 중국 안에서 자사게임을 서비스하던 업체에 인수 당해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국의 유명업체인 ㄱ사가 개발과 서비스분야를 나눠, 개발분야는 중국업체와 합작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중국업체와 합작하면서 게임개발 인력이 아예 중국업체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다”며 “중국업체는 한국업체의 기술을 그대로 복제하거나, 서비스해 큰 돈을 번 뒤 개발업체를 인수해버린다”고 말했다. ■ “콘텐츠를 사수하라”=전문가들은 이런 인수·합병을 인위적으로 통제하기는 어렵더라도, 기본적인 대책 마련은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유형오 게임산업협회 부회장은 “많은 회사들이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나 일본업체에서 제의가 들어오면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다”며 “생존차원에서 거래를 하다보니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외국업체는 이런 사정을 이용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현재 중국보다 2~3년 앞서 있는 기술 격차가 급속히 좁혀지고 있는 점도 고민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특히 온라인게임은 한번 선점하면 수명이 길기 때문에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도록 기획력과 기술력을 높이기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차원 대응전략 필요 전문가들은 개별 업체 차원에서 콘텐츠 기술 유출 및 기업 인수합병 문제 등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만큼, 정부 차원의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에서는 일방적인 보호정책을 펼 수 없다고 말하지만, 제도 바깥에서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우선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국가정보원 등에 흩어져 있는 콘텐츠 관련 부서를 모아 ‘콘텐츠전략위원회’같은 일원화된 창구를 만든 뒤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