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가계 살림살이 변화
무리한 주택대출 탓…부채증가율, 소득증가율 2배 넘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가 평균적으로 연간 가처분소득의 1.42배에 이르는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계 부채 증가율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배 이상 되면서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이 악화된 것이다. 집값 광풍 속에서 주택 담보대출을 무리하게 늘린 탓이 크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6년 자금 순환 동향’을 보면, 지난해 말 현재 가계 부채 잔액은 모두 671조1천억원으로 한 해 사이 70조원(11.6%)이나 늘어났다. 2002년부터 금융 자산·부채 통계 작성 기준이 일부 변경돼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2002년의 107조원을 빼고는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또 지난해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액도 40조7천억원으로 2005년(34조7천억원)보다 17.3%(6조원) 급증했다. 반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5.6% 늘어나는 데 그쳐, 가계 부채 증가율의 절반, 이자 부담액 증가율의 3분의 1에도 못 미쳤다. 또 금융자산 증가율도 부채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했다. 지난해말 현재 가계 금융자산 잔액은 1511조원으로, 2005년보다는 8.6% 늘어났다.
이처럼 빚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가계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에 일제히 빨간불이 켜졌다. 소득에 견줘 부채 크기를 나타내는 가계 부채 대비 가처분소득 비율을 보면,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1.28배에서 1.35배로 완만히 늘어났으나 지난해엔 1.42로 급등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이자 지급액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2년 7.0%에서 지난해엔 8.6%까지 높아졌다. 예컨대 한달에 300만원을 벌어 대출 이자를 갚은데 25만8천원을 쓰는 셈이다.
송태정 엘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부채가 늘어나는 건 일반적인 현상”이라면서도 “다만 전체 가계 자산 가운데 부동산 등 실물자산 비중이 70%를 웃돌고 있는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냉각되면 가계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