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늘려 은행원·고객 윈-윈 방안 찾아야
은행 마감단축 논란 따져보니
전국금융산업노조(금융노조)의 은행 창구 마감시간 단축 추진을 놓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핵심 쟁점은 △일반 소비자의 피해 정도 △기업 고객의 불편 여부 △은행원의 노동 강도 등 세 가지로 모아진다.
금융노조는 “갈수록 창구를 이용하는 손님이 줄고 있어 창구 문을 일찍 닫더라도 소비자들이 입는 불편이 생각만큼 크지 않다”고 주장한다. 통계만으로 보면 금융노조의 주장에 일리가 있다.
지난해 말 현재 결제 건수를 기준으로 할 때, 직접 창구를 방문해 은행 업무를 보는 비중은 22.7%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인터넷뱅킹 비중은 41%를 넘어섰고, 텔레뱅킹도 11%에 이른다. 또 현금 입출금기를 비롯한 자동화기기(CD/ATM)를 이용한 업무 처리 비중도 25%에 가깝다.
그러나 단순히 비중만을 놓고 봐서는 안 된다는 반론이 많다. 장학민 한국소비자원 금융팀장은 “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는 계층이나 세대가 겪게 될 불편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며 “현재 신용불량 등의 이유로 신용카드를 쓸 수 없는 사람만도 400만명이 넘는다”고 말했다. 이들은 은행 창구에 가지 않으면 돈을 찾을 수 없다.
기업 쪽 불편 여부도 논란거리다. 금융노조 쪽은 외환 거래는 2005년 3월 마감 시간이 오후 4시에서 3시로 앞당겨졌기 때문에 창구 영업시간 단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증권계좌도 기존 은행 결제시스템과는 다른 망을 이용해 운영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하지만 은행을 이용하는 기업들의 피해와 관련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한 시중은행의 기업영업팀장은 “이미 대부분의 기업들이 전자결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이 예전처럼 은행 마감시간에 쫓기는 모습은 사라진 지 오래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설령 그날 자금 결제가 시간에 쫓겨도 대부분의 은행 지점들이 창구 마감시간 뒤에라도 별도로 처리해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중소기업이나 영세 자영업자들이 몰려 있는 지역의 목소리는 다르다. 한 시중은행의 남대문지점장은 “대부분의 자영업자들이 마감시간 직전에 창구를 허겁지겁 찾고 있다”며 “마감시간을 1시간 앞당기는 건 이들에게 대단히 큰 불편을 안겨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같은 은행이라 하더라도 지역별로 손님들의 이용 행태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창구 이용자가 줄었다고 말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은행원들의 노동 강도와 관련해서는, 창구 영업 마감 이후 연장근무까지 포함할 경우 노동 강도가 센 만큼 이를 완화해야 한다는 금융노조의 주장이 어느 정도 공감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은행 내부의 문제를 외부의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것 또한 잘못이라는 의견이 많다. 조성재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원들의 잔업이 많아 노동 강도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이는 인력 보강 등의 방식으로 풀어야 할 문제이지,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선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장학민 팀장도 “어차피 서로 경쟁하는 환경에서는 은행별로 영업 시간도 자율화해 소비자들의 심판을 받는 게 맞다고 본다”면서도 “하지만 모든 은행이 일률적으로 영업시간을 단축하는 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그러나 중소기업이나 영세 자영업자들이 몰려 있는 지역의 목소리는 다르다. 한 시중은행의 남대문지점장은 “대부분의 자영업자들이 마감시간 직전에 창구를 허겁지겁 찾고 있다”며 “마감시간을 1시간 앞당기는 건 이들에게 대단히 큰 불편을 안겨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같은 은행이라 하더라도 지역별로 손님들의 이용 행태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창구 이용자가 줄었다고 말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은행원들의 노동 강도와 관련해서는, 창구 영업 마감 이후 연장근무까지 포함할 경우 노동 강도가 센 만큼 이를 완화해야 한다는 금융노조의 주장이 어느 정도 공감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은행 내부의 문제를 외부의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것 또한 잘못이라는 의견이 많다. 조성재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원들의 잔업이 많아 노동 강도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이는 인력 보강 등의 방식으로 풀어야 할 문제이지,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선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장학민 팀장도 “어차피 서로 경쟁하는 환경에서는 은행별로 영업 시간도 자율화해 소비자들의 심판을 받는 게 맞다고 본다”면서도 “하지만 모든 은행이 일률적으로 영업시간을 단축하는 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