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4일 공개한 행정도시 정부청사단지 조감도.
20%는 임대주택…‘장애물 없는 보행로’ 설치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도시)에 2030년까지 20만가구의 주택이 공급돼 50만명이 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행정도시는 ‘무 장애 도시’로서 전기·통신시설과 가로등, 가로수 등을 따로 설치해 보행자와 자전거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된다.
행정도시 건설추진위원회(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서의택 부산대 석좌교수)는 14일 오후 정부중앙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행정도시 광역도시 계획안’과 ‘개발 계획 변경안 및 실시 계획안’, ‘행정도시 토지 공급 지침안’ 등 3가지 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로써 행정도시는 모든 사전 계획 절차를 마치고 오는 7월 착공된다.
행정도시엔 2030년까지 18만4천가구(92%)의 공동주택과 1만6천가구(8%)의 단독주택이 공급돼 20만가구에 50만명이 거주하게 된다. 공동주택 가운데 20%는 임대주택으로 지어진다. 또 전체 20만 가구 가운데 33평형 미만이 75%로 가장 많고 50평형 미만이 20%, 50평형 이상은 5%로 구성돼, 중간층과 서민층 중심으로 도시가 계획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구밀도는 헥타르당 312명으로 분당(614명), 일산(525명) 등 수도권 새도시보다 낮다.
행정도시를 둘러싼 광역권은 대전, 청주, 청원, 공주, 연기, 계룡, 진천, 증평, 천안 등 9개 시·군로 이뤄진다. 광역권의 2030년 인구는 최대 400만명으로 현재의 258만3천명보다 140만명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이 가운데 60만명이 수도권에서 이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정도시 광역권의 인구를 지역별로 보면, △대전이 146만2535명에서 185만명으로 △행정도시권 충북은 84만8139명에서 122만명으로 △행정도시권 충남은 27만2240만명에서 43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행정도시는 ‘무 장애 도시’를 표방해 보행과 자전거 이용이 편리한 도시로 만들어진다. 전기·통신시설, 가로등과 가로수 등은 보행로와 차도 사이의 시설물 지대나 지하에 따로 설치된다. 또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가 편리하도록 대중교통 중심 도로와 생활형 도로는 최소 보행로는 2.4m, 자전거도로는 1., 시설물 지대는 0.9m의 너비를 갖추도록 했다. 또 보행로상이나 보행로와 차도 사이의 경사를 5도 정도로 낮춰 장애인, 노인, 임신부, 어린이 등이 편안히 걸을 수 있도록 했다.
임성안 행정도시청 도시발전정책팀장은 “행정도시는 21세기형 친환경·친인간 도시로서 보행자 중심의 도로 체계를 마련했고, 특히 도시 전체를 연결하는 400㎞의 자전거 도로를 이용해 통근·통학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